메뉴

제대로 알고 먹는 약재 상식 - 차가(Chaga)버섯

항암작용·활성산소 제거 능력 탁월

차가버섯은 러시아에서는 16세기경부터 불치병을 치료하는 비약으로 전해내려 왔으며 1951년 소련 과학아카데미 코마로프과학연구소에서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해 현재 러시아에서는 공식적인 암치료 약재로 인정받고 있다.

 
1968년 솔제니친이 자신이 겪은 실화를 바탕으로 쓴 소설 '암병동'에 의해 더욱 알려지게 됐다.
 

1968년 발표된 암병동은 솔제니친 자신이 1950년대 말 카자흐스탄에 강제 추방당해 입원해있으면서 말기라고 진단받았던 암을 성공적으로 치료한 실화를 바탕으로 담고 있다.


일반적인 버섯은 균사와 포자가 다른 생물이나 유기체에 자리를 잡고 착생하지만 차가버섯은 자작나무가 외부에서 침투하는 바이러스와 싸우는 과정에서 자란다.


차가버섯은 자실체가 아닌 균핵(菌核)이 전체의 99%를 이루고 있으며 살아있는 나무에 기생하는 거의 유일한 버섯인데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일반 버섯은 고사목이나 나무등결에 기생하면서 나무의 목질(木質,lignin)을 주 양식으로 하지만 차가버섯은 살아있는 자작나무에 기생하며 자작나무 수액을 주양식으로 하고 있는게 특징이다.


그 생존방식의 특이성으로 신비한 약재로 알려지고 있는 차가버섯. 차가버섯에는 어떤 이로운 효능이 있는지 알아 본다.


차가(Chaga)버섯 이란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버섯으로 암 등 성인병 치료에 효능이 뛰어나다. 바이러스에 의해 착생해 수액을 먹고 자라는데 대개 15∼20년 동안 성장한다. 오리나무와 버드나무·단풍나무 등에서도 발견되지만 이들은 효능이 없다.


한국,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북유럽 등 자작나무가 자생할 수 있는 지역으로 타이가 기후대의 자작나무 삼림지대에서 자생한다.


차가(Chaga)버섯은 학명은 Inonotus Obliquus로써 자작나무에서 자라며 자작나무에 바이러스가 침투해 자작나무와 싸우는 과정에서 생기며 10년 정도 자작나무 몸속에서 성장한 후 나무의 껍질을 깨고 표면으로 나오고 표면으로 나온 후에도 5년에서 15년 정도 더 자란다.


차가버섯의 ‘차가’라는 단어는 언뜻 한국말인 것 같지만 러시아어 ‘Чага’를 우리말로 발음한 것이다. 영문으로는 Chaga, Chaga Mushroom, Birch Mushroom, Birch Clinker 등의 이름을 가지며 일본어로는 カバノアナタケ(카바노아나타케)라고 한다.


차가버섯은 자작나무의 몸속에 긴 뿌리를 내리고 그 뿌리를 이용해 자작나무의 수액을 섭취하며 성장한다.


자작나무 등 활엽수의 생목이나 고사목에 발생하며 목재를 백색으로 썩히는 부생생활을 하는 약용버섯이다.


수령 15년 이상, 가운데 두께 10㎝ 이상, 수분 함량 14% 이하, 60℃ 이하에서 건조된 1등급만 약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폐기하거나 차를 끓이는 용도로 쓴다. 여러 가지 물질이 들어 있는데 다른 버섯에 비해 베타글루칸이 많이 함유돼 있다.


차가(Chaga)버섯의 효능 및 효과


차가버섯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활성산소의 제거 능력이 그 어떤 식품보다도 탁월하다. 차가버섯은 산화력이 높아서 관리하기가 무척 까다로운데 산화력이란 산소와 결합하는 정도를 말한다. 즉 공기 중에 노출되면 곧바로 산소와 만나서 산화가 되기 때문에 차가버섯은 무척 엄격하게 관리한다. 이러한 성질이 차가버섯의 항산화 작용인데 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위 자료는 2005년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Dove Health Alliance에서 발표한 주요 항산화 식품의 항산화능력 비교 자료로 항산화 작용에 관한 세계 최고 연구기관인 Brunswick Labatories(www.brunswicklabs.com)에서 실험, 측정한 것임.


첫 번째 그래프에 나열된 물질은 순서대로
물 추출한 차가버섯(Wildcrafted Siberian Chaga)
장고(열대 과일의 일종) 드링크(Xango Drink)
마이다케 버섯(Maitake)
노니 주스(Tahitian Noni Juice)
동충하초(Cordyceps)
영지버섯(Reishi)
알코올로 추출 차가버섯(Chaga Alcohol Tincture)
아가리쿠스(Agaricus)


이 실험에서는 두 가지 분석 방법을 적용해 차가버섯을 비롯해 항산화작용이 높다고 알려진 각종 식품들의 항산화 능력을 비교했다.


첫 번째 그래프는 ORAC(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이라는 측정방법으로 분석


두 번째 그래프는 전기적인 방법을 통해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는 SOD 방식으로 분석


두 그래프 모두 차가버섯의 항산화 능력이 비교 대상이 된 다른 항산화 식품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위의 분석에 따르면 같은 양을 먹어도 다른 항산화식품에 비해 적게는 두 배, 많게는 50배의 항산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차가(Chaga)버섯의 국내의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은 임상결과가 있다.


차가버섯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활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차가버섯 추출물이 소화기계 암세포의 증식 및 Caspase-3 활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서울 알레르기 연구소


차가버섯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및 유전독성 억제효과
두산그룹 생명공학연구조합 외


차가(Chaga)버섯 먹는법

 

차가버섯은 80도 이상 고온에서는 주요성분이 없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차를 만들때도 제대로 해야 한다.


1. 차가버섯 200g 을 칼등을 이용하여 단단한 껍질부분 및 불순물을 제거한다.

2. 차가버섯을 불릴물을 준비한다. 1000cc의 물을 1분이상 끓인후 식힌다.

3. 끊인물이 50~60도 정도되면 손질한 차가버섯을 그물에 담근후 4시간~5시간 불린다.

4. 부드러워진 차가버섯을 건져서 아주 잘게 부순다.

5. 새로운 물 1500cc 정도를 1분이상 끓인후 50~60까지 식힌다.

6. 새로 끊여서 식힌물과 차가버섯 불린 물을 더한 후 잘게 부순 차가버섯을 같이 넣는다.

7. 상온에서 48시간정도 보관하되 차가버섯의 성분이 잘 우러나도록 한번씩 골고루 저어준다.

8. 보자기등으로 추출한다.

9. 냉장고에 보관하며 4일이 넘어가면 산화가되어 효능이 떨어진다.

10. 1일 4회식전에 음용 하며 (아침, 점심, 저녁, 취침전) 음용은 150cc 커피잔 한잔정도가 적당하다.


초원한방플러스 윤여진 대표는 “차가버섯은 항산화작용이 강해 보관이 어렵고 취급하기가 까다롭다. 따라서 한꺼번에 많은 양을 차로 만들면 그 효능이 떨어지므로 다소 번거롭더라도 조금씩 만들어 음용하는게 좋다”라고 말했다.


이어 윤 대표는 "차가버섯하면 항암작용만을 생각하는데 차가버섯의 항산화 작용은 그 어떤 음식보다 뛰어나므로 중장년층이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된다”라고 전했다.

 

(자료제공=초원한방플러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