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5 국감] “소비기한 지난 빵이 진열대에”…편의점 식탁의 ‘숨은 위생 리스크’

김미애 의원 “3,200건 중 2,000건이 소비기한 초과”
“삼각김밥은 결제 차단 우유·빵은 그대로…관리 공백”
오유경 처장 “빵·우유 업체 참여 의사…도입 속도 낼 것”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편의점 식품이 국민의 ‘제2의 식탁’이 됐지만 여전히 소비기한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삼각김밥은 결제 차단 시스템이 작동하는데 우유·빵은 여전히 소비기한이 지난 제품이 진열되고 있다”며 타임바코드(소비기한 자동 인식 시스템)의 전면 확대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편의점은 초등학생부터 직장인까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식품 구매처지만 2019년 이후 식품위생법 위반이 3,200건에 달하고 올해 상반기에만 262건이 적발됐다”며 “이 중 약 2,000건이 소비기한이 지난 제품을 판매한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어 “편의점에서는 삼각김밥·샌드위치·햄버거 등에 타임바코드를 부착해 소비기한이 지난 제품은 결제가 차단되지만, 우유·요구르트·빵·과자 등 가공식품은 아직 적용되지 않아 소비자 피해 위험이 높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지난 7월 SNS에서 “2021년 9월 10일자 유통기한이 찍힌 국순당 생막걸리가 판매됐다”는 제보 사례를 언급하며 “소비기한 관리 공백이 현실로 드러난 만큼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이에 오유경 식약처장은 “빵·우유 업체들과 직접 만나 필요성을 설명했고, 참여 의사를 밝힌 기업이 있어 빠르게 추진될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또 “업계에서는 인식기·검증계 소프트웨어 등 바코드 장비 도입 비용이 과도하다며 식약처의 예산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지원이나 완화 대책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질의했다.

 

이에 식약처는 타임바코드 도입에 필요한 장비비(1,500만~2억 원)의 업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중소기업과의 매칭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오 식약처장은 “이미 일부 업체들이 식품 QR과 바코드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소비기한 정보뿐 아니라 수어(手語) 안내 기능까지 함께 담을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