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5 국감] “비만치료제·새벽배송·AI 예측까지”…오유경 식약처장, ‘AI 식의약 관리’ 속도낸다

국정감사서 식품·의약품·의료기기 5대 과제 보고…먹거리·의약품·마약류 안전 강화
AI 기반 위해예측·HACCP 고도화·비만치료제 오남용 차단 등 종합대책 제시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 박주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국정감사에서 오유경 식약처장은 “국민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식의약 안심사회를 만들겠다”며 식품·의약품·의료기기 전반의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보고했다.

 

이번 감사는 헌법 제61조, 국회법 제127조 및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실시됐으며, 식약처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6개 지방식약청,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등 총 14개 기관이 대상이다.

 

박주민 위원장은 개회 인사에서 “오늘 감사 대상 기관들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식품·의약품 안전을 책임지는 핵심 부처로, 정책 점검과 개선을 통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식의약 안전체계가 강화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오유경 처장은 업무보고에서 ▲먹거리 안전망 강화 ▲의료제품 안전공급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제고 ▲마약류 오남용 예방 등 5대 중점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그는 “온라인 새벽배송 농축수산물 검사 확대와 글로벌 수준의 HACCP 도입으로 국민 먹거리 안전을 한층 강화하겠다”며 “AI 기반 위해예측 시스템을 구축해 기후변화로 인한 새로운 위해 요인에도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어린이·노인·장애인 대상 급식관리지원센터 확대와 모바일 식품안전·건강정보 제공 확대, AI·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활용한 식중독 원인 규명률 제고 등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오 처장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 네트워크를 가동하고 희귀·난치 질환 치료제의 신속한 공급체계를 마련하겠다”며 “디지털 의료기기 심사 절차를 합리화하고 성능인증제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국제 수준의 화장품 안전성 평가제도 도입을 통해 K-뷰티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사회적 관심이 높은 비만치료제 오남용 문제와 관련해서는 “불법 판매·광고와 해외직구 제품을 차단하고, 이상사례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며 “비대면 처방 제한, 전문가용 안내문 제공 등 안전사용 지원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청소년 오남용 방지 홍보와 위해성 관리계획 강화 등 품목별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오 처장은 오는 11월 예정된 APEC 정상회의 식음료 안전 관리 계획도 보고했다. 그는 “행사 전 조리장 위생점검과 식중독균 검사를 사전 완료하고, 회의장·만찬장에는 전담 검사관을 상시 배치해 식중독 관리체계를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AI 기반 마약류 오남용 통합감시시스템을 통해 예측 감시를 강화하고, 신종 마약의 임시 지정 예고 기간을 단축해 조기 차단할 계획이다. 아울러 “대상별 예방교육과 사회복귀 지원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오유경 처장은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과학 기반의 안전관리와 현장 중심 정책 혁신을 추진하겠다”며 “위원님들께서 주시는 고견을 정책에 반영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식의약 안전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