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로문 칼럼>식중독 걱정해야 할 때

더워서 돌아다니는 것이 귀찮아지면 식중독을 조심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 낯 기온은 한여름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예년의 5월보다 훨씬 더 높아졌다. 뉴스에서도 고온현상이 앞당겨졌다는 소식이 빈번하다.


예년 5월의 기온만 생각하며 방심하다가는 식중독의 위험에 노출되기 십상이다. 그리고 실제 그런 일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인천시내 7개 초중고교에서 약 519명의 학생이 설사 및 복통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이기 시작해 지금은 10개 학교 1027명에 이르고 있다. 역학조사 결과 10개 학교 모두 같은 업체서 김치를 납품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최소한 관리와 납품과정에서 어디에선가 위생관리 문제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인천시에서는 지난 2012년 9월에도 김치를 납품받은 7개 학교에서 1642명의 학생에게 식중독이 발생한 전력이 있다. 


식중독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여름철에는 고온다습한 계절적인 영향이 가장 크다고 한다. 따라서 이 때 식중독 사고가 빈발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위생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식중독 사고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식품이나 식자재를 납품하는 업체가 가장 기본적으로, 그리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이 철저한 위생관리다. 특히 집단급식을 위한 것이라면 몇 번씩 확인하고 또 확인해야 한다. 한 순간의 잘못으로 집단이 위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이상고온이 지속될 때에는 미리 식중독의 발생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한 발 앞서 대비했어야 한다.   


인천 초중고교에서 식중독 사고가 발생한 것은 아마도 때 이른 더위다보니 업체에서는 전혀 예상치 못했을 수도 있다. 아직 여름이 먼데 설마 벌써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조차 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만약 이렇게 생각하고 방심했다면 참으로 참담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식중독에 대해서는 어느 특정 기간이 아니라 항상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때 이른 더위는 변명이 될 수 없다. 또한 식중독이 어느 날씨에 발생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이미 경험과 학습을 통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 정도는 예측하고 대비했어야 한다.


2013년 ‘노로 바이러스’의 공포를 생각해보자. 노로 바이러스는 낮은 기온에도 오래 생존하고 적은 양으로도 식중독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 2013년 노로바이러스의 교훈을 세기고 있었다면 이렇게까지 식중독 사고를 앞당기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른 무더위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예년보다 높다고 보고 학교 위생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는 교육청 담당자의 말을 곱씹어 보면 이번 식중독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앞당겨진 더위로 인한 식중독 위험성 증가에 대해서는 거의 예견하지도 못하고 예견하지도 못했으니 위생강화를 하지 못했다는 말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또 하나의 문제는 ‘틀에 박힌 관리’이다. 식중독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는 여름이다 보니 그 전 까지는 예방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사전에 식중독 위험 경고를 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무더위가 일찍 찾아왔다면 식중독 위험성이 높아질 것이기 때문에 담당 부처에서는 사전에 학교나 납품업자에게 주의를 주었어야 한다. 이번 사고에서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에서 까다로운 검수 과정을 거치고 걸러지지 않아 이번 사태를 막지 못했다”고 하는데 날씨가 더워졌다는 사실을 고려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업체도 뒤돌아볼 일이다. 아직 식중독이 발생할 시기가 아니니 여름철만큼 식중독 예방에 소홀했던 것은 아닌지 생각해봐야 한다. 담당 부처에서 주의를 당부하기 전에 업체에서는 사전에 인지하고 위생관리에 만전을 기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숙성·발효된 김치는 식중독균이 생성되지 않으나, ‘겉절이’와 ‘열무김치’ 등 완전히 숙성되지 않아 식중독 위험에 노출된다”는 분석을 보면 이번 사고는 위생관리의 미흡이라고 봐야 한다. 아무리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도 식중독은 어찌할 수 없는 측면이 있다는 식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식중독에는 분명한 원인이 있고, 식중독은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월호 참사라는 정말 생각하고 싶지도 않은 엄청난 희생을 치르고야 우리는 비로소 안전을 뒤돌아보기 시작했다. ‘안전불감증’이란 말이 매일 같이 반복되고 있지만 뭐 하나 제대로 고쳐지는 게 없다. 이번 식중독 사고 역시 마찬가지라 생각한다. 아직은 식중독이 발생할 시기가 아니라고 안이하게 생각한 것 아닌가? 그것도 학생들을 상대로 한 집단급식에서 말이다. 학생들을 계속해서 위험에 노출시켜 놓는다면 학부모들은 누구를 믿고 아이들을 맡길 수 있겠나? 위험은 선제적으로 대응해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