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한우산업의 발전과 AI 시대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 및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AI 시대에 모든 산업이 대응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한우산업은 상대적으로 뒤처진 상황으로 한우자조금은 산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익 목적의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디지털정보센터(HDIC) 구축과 AI 기반 정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송아지 육성률 향상 및 생산성 기반, 지속 가능한 축산의 시작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한우농가, 학계, 유관기관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현장 사례와 질의응답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특히 하재정, 한우자조금 책임연구위원의 한우디지털정보시스템 소개 및 서비스 방안을 시작으로 고봉석 거기한우 대표에 번식농가의 필수 기본기 4원칙, 강기웅 우사랑동물병원장의 송아지 맞춤형 인공포유 및 질병의 예방과 치료, 노상건 일본 도호쿠대학교 교수에 일본 화우 송아지의 최신 사양관리 기술 및 현장사례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또한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한우자조금은 한우산업 현장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사례 중심형 최신 사양관리 방안, 번식 효율 제고, 인공포유 및 질병 예방 기술 등 선도농가와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여 유익한 정보를 전파했다.
아울러 한우디지털정보센터는 현장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농가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AI 기반 정보 서비스를 통해 주요 지표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한우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데이터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고 한우자조금은 설명했다.
민경천 위원장은 “AI 시대 한우산업의 경쟁력은 데이터와 현장의 결합에서 나온다”며,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과학기술과 현장 경험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앞으로도 농가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효율적 경영과 지속 가능한 한우산업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