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충북 진천군(군수 송기섭)이 고품질 브랜드쌀 생거진천쌀을 기반으로, 진천쌀빵까지 전국적으로 인지도를 얻으며 대한민국 대표 쌀 고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14일 군에 따르면 생거진천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산부터 가공, 유통까지 쌀 산업 전반에 걸쳐 적극적인 투자와 체계적인 지원을 이어왔고, 2022년부터 전국 최초로 단백질 함량 검사 의무화 제도를 도입한 고품질 벼 계약재배 사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성과를 올리고 있다.
단백질 함량 6.3% 이하 벼에 생산장려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밥맛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인 단백질 함량을 과학적으로 관리해 고품질 쌀 생산의 기반을 다졌다.
2024년에는 관행 대비 10a당 2~4kg 수준으로 질소 시비량을 줄이는 시범사업을 실시해, 단백질 함량을 낮추고 밥맛을 높이는 기술을 적용했고, 군만의 체계적인 접근은 2026년부터 시행될 쌀 단백질 함량 표시 의무화 제도에 부합하는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함께 쌀빵 생산 업체인 미잠미과는 2020년부터 가루쌀 전용 품종 바로미2를 도입해 고유의 쌀빵 제조기술을 개발, 쌀빵 특유의 거친 식감을 개선하고 밀가루빵과 견줄 만한 맛과 품질을 구현해냈다.
농다리 쌀식빵을 대표 상품으로, 단팥빵부터 깜빠뉴에 이르기까지 137종의 다양한 쌀빵을 선보이고 있으며 생산–가공–유통–소비로 이어지는 쌀 산업 밸류체인을 완성해 지역 농가와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미잠미과는 2022 농림축산식품 과학기술 발전 유공 대통령상, 2024 농림축산식품부 주최 가루쌀 제과·제빵 신메뉴 품평회 금상, 2024 세계농수산업기술상 농식품 가공부문 ‘대상’ 등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
군은 앞으로도 생거진천쌀이 단순한 주곡을 넘어 미래형 먹거리 산업의 핵심 자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남기순 군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생거진천쌀은 밥맛뿐 아니라 건강, 기능성, 활용성까지 고려한 진천군 농업의 철학이 담긴 결과물”이라며 “진천쌀빵 역시 진천쌀의 가치를 간식 시장까지 확장한 성과로, 앞으로도 진천이 전국에서 가장 ‘맛있는 쌀의 명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