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산업통상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지난 10월 주요 유통업체의 오프라인 13개사 매출은 6.6% 증가했고, 온라인 10개사 매출도 6.8% 증가해 전체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6.7%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오프라인 매출은 전년 10월 대비 대형마트는 9.3%, 백화점 12.2%, 편의점도 0.7%은 증가했고, 준대규모점포는 감소했고, 개천절, 추석, 한글날로 이어진 긴 연휴 영향, 늦은 추석 수요, 국가 단위 통합 쇼핑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기간 전사적 판촉전 착수 등으로 대형마트, 백화점 매출이 크게 늘었으며, 편의점은 4개월 연속 성장, 준대규모점포는 지난 8월 이후 3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특히 온라인 매출은 식품, 서비스(e쿠폰, 배달서비스, 문화·여행상품 등), 가전, 화장품 부문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상품군별 매출의 경우 으뜸효율 가전 구매비용 환급 사업 영향으로 가전부문이 2.4% 매출이 증가했고, 패션/잡화가 4.7%, 식품도 8.7%, 서비스는 6.0%, 해외유명브랜드 19.5% 등 전 부문이 성장했다.
오프라인의 매출 비중은 대형마트, 백화점이 각각 0.2, 0.9%p 증가했고, 편의점, 준대규모점포는 각각 1.0, 0.2%p 감소해 전체의 48.0%이며, 온라인은 0.1%p 증가한 52.0%를 차지했으며, 점포수는 전년 10월 대비 준대규모점포는 확대,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은 축소됐다.
점포당 매출은 대형마트 10.2%, 백화점 16.2%, 편의점 3.2%로 증가하였으며, 준대규모점포는 감소했고, 구매건수는 백화점은 증가, 대형마트, 편의점, 준대규모점포는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줄었다.
또한 구매단가로 대형마트가 10.6%, 백화점이 9.0%, 편의점은 5.1%, 준대규모점포도 1.7%로 모두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10.6%가 상승했다.
산업부는 이번 통계를 구매건수, 구매단가가 모두 증가한 백화점은 소비심리 회복, 긴 연휴의 영향으로 소비자는 백화점을 자주 찾고 1회 구매 시 고가품을 더 구매한 것으로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