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브리핑]냉동탕수육은 밀가루 덩어리?...평균 고기함량 48.5%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시판되고 있는 간편식 냉동탕수육의 평균 고기함량이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함량이 낮은 원재료를 제품명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면서도 ‘고기 본연의 맛이 좋아’, ‘돼지고기 풍미가 담백’, ‘등심이 꽉 차 있어’ 등의 문구를 표시·광고해 소비자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10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온라인 쇼핑몰과 시중 마트 등을 통해 접할 수 있는 국내 20개 제조사의 20개 제품을 무작위로 선정해 냉동탕수육의 고기함량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조사결과, 냉동탕수육 20개 제품의 고기함량 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곰곰 ‘한돈 탕수육세트’의 고기함량이 33.84%로 가장 낮았다. CJ씨푸드 ‘행복한요리 순돈탕수육’은 35.73%, 식자재왕 ‘통살탕수육’은 38.5%로 뒤를 이었다.
 


조사대상 냉동탕수육 20개 제품의 평균 고기함량은 48.5%였다. 가장 낮은 고기함량은 33.84%였으며, 가장 높은 고기함량은 58.85%였다. 고기함량이 50%를 넘지 못하는 냉동탕수육 제품은 20개 제품 중 6개나 됐다.


냉동탕수육의 주재료가 50%를 넘지 못하더라도 함량을 규정하는 법·제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돈’, ‘통살’, ‘등심’ 등의 원재료명을 제품명으로 사용해 소비자들을 현혹하는 상황이다.

 

식약처 '식품 등의 표시 기준'에서는 원재료명을 제품명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는데, 2가지 이상의 식육종류(품종 또는 부위명)가 들어가는 경우 가장 많은 종류를 제품명으로 쓸 수 있도록 고시하고 있다. 하지만 함량에 대한 기준은 없어서 단일육으로 등심만 1% 들어갔다면 ‘등심 탕수육’이 될 수 있다.

 

소비자가 정확한 냉동탕수육의 고기함량을 알기 위해 정보표시면(뒷면)을 보더라도 함량표기가 없는 경우도 허다하다. 제품명에 원재료명이 사용된 경우 주표시면(앞면)에 함량을 기재하고 정보표시면은 생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비자는 제품을 비교 구매할 때 제품명에 따라 주표시면(앞면)과 정보표시면(뒷면)을 각각 확인하는 수고를 감수해야 한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냉동탕수육 업체는 제품 홍보보다 소비자의 기대에 부합하는 식품을 제조해야 하며,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표시면에도 함량을 기재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소비자가 오해하지 않도록 식품의 모든 정보를 예외 없이 정보표시면에 기재하는 등 식품 등의 표시기준을 강화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식품의 주재료가 되는 원재료의 함량 기준도 명확히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