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통주 막걸리, 대부분 수입쌀로 제조

홍문표 의원, 국산쌀 제조 막걸리는 전체 막걸리의 29%에 불과

전통주 막걸리가 무늬만 전통일 뿐, 원료 대부분은 수입쌀로 제조되고 있으며, 정부의 수출물류비 지원도 국산쌀로 만든 막걸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문표 국회의원(새누리당, 충남 예산·홍성)이 5일 농림수산식품부 감사에서 “‘주류산업정보 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2010년 생산한 41만2000㎘의 막걸리 원료의 국산비율은 2만2,342톤으로 30%에 불과했으며, 수입원료가 7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홍 의원에 따르면, 소비자가 주로 찾는 쌀막걸리 중 국산쌀로 만든 막걸리는 35%인 2만2,110톤에 불과하여 전체 막걸리 생산량의 29%에 불과하였으며, 밀로 만든 막걸리의 경우에는 99.9%가 수입 원료를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막걸리를 수출전략 품목으로 지정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를 통해 지난 4년간 수출에 따른 물류비 지원금, 총 47억6,300만원을 지원해오고 있다. 이 중 수입 원료를 사용한 막걸리에 56%인 26억7,500만원을 지원하여 국산쌀 100%를 사용한 막걸리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해외로 수출되는 막걸리 원료 현황을 살펴보면, 2009년부터 올해 6월까지 수출된 전체 막걸리 6만4,265톤 중 순수 국산쌀 막걸리는 2만4,212통으로 37.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막걸리 수출액은 2,896만 달러로 2011년 동기간에 비해 22.4% 감소하였다. 이는 정부가 당초 계획했던 올해 연간 수출 목표액인 8,000만 달러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홍문표 의원은 “우리술중에서 세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막걸리의 원료 대부분이 수입쌀로 만들어 진 것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라고 지적하고, “특히, 수입 원료로 만든 막걸리에 대한 정부의 수출 물류비지원은 큰 문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