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김진수 칼럼] 떡으로 쌀 문제와 식사를 해결하자

쌀 소비가 줄어들자 농민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계속되는 쌀값 폭락과 재고량 증가로 농민은 물론 정부에까지 부담을 더하고 있다. 농산물의 풍작, 흉작은 예측이 어렵긴 하지만 농사에 문제가 생기면 정부가 무조건 책임져야 된다는 말은 다소 억지주장으로 들린다. 시장경제의 논리로 보면 소비자가 쌀을 덜 소비함으로써 생기는 공급자의 피해인데 정부가 공급자를 과잉보호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언젠가부터 정부는 문제가 발생하면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 해결하기보다 무조건 돈으로 틀어막는 식의 해결책을 보는 것 같아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물론 식량자원은 국가전략물자에 속하므로 정부가 자유로울 수는 없다. 해가 갈수록 쌀 소비가 계속 줄어들어 쌀 농가는 수확철만 되면 정부에 보상을 요구하며 논을 갈아엎어 왔다. 아직도 농민들의 원성이 되풀이된다면 그동안 이를 개선하지 않은 정부에게도 책임이 클 수밖에 없다. 정부가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따라 쌀 생산을 조절하든지 쌀 가공품을 다양화해야 하는데 이를 게을리 한 탓이다. 쌀이 남는다면 진작부터 소비가 잘되는 대체작물로 경작하게 하거나 아니면 소비를 많이 할 수 있도록 쌀 가공제품을 연구 개발했어야 했다. 


쌀 소비량이 줄어들게 된 것은 국민의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식문화변화가 가장 큰 요인이다. 오늘날 서구화 영향으로 식문화가 다양해지고 육류 소비도 증가하면서 곡물류 소비가 감소하고 있다. 또한 비만이 쌀을 비롯한 탄수화물의 과다섭취 때문이고 쌀, 설탕, 소금 3백(白)이 건강에 해롭다는 건강상식이 널리 알려지면서 쌀의 소비는 계속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도 이미 쌀 공급 과잉 문제해결을 위해 쌀 가공식품 분야에 눈을 돌리고 있으며 현재는 쌀 가공 식품에 대한 수요 촉진 방안으로 '글루텐프리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밥이든 빵이든 탄수화물은 반드시 먹어야 되는데 건강에 해로운 글루텐 빵보다 글루텐이 없는 쌀이 건강한 식재료로 인식되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을 만하다.


글루텐프리 쌀로 만든 떡이 쌀 소비를 촉진할 주요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떡 산업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 빵·과자 등에 밀려 사양산업으로 내몰렸다. 그러나 최근 식품산업 소비트렌드가 ‘웰빙’과 ‘전통’이라는 관심이 높아지면서 떡 소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출퇴근길 식사대용의 떡 출시, 세련된 분위기의 떡 카페와 세계인의 입맛에 맞춘 퓨전 떡볶이 등이 이를 대변하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제품으로 마늘떡토스트, 녹차치즈떡케이크, 복분자떡케이크, 블루베리쌀쿠키, 모싯잎송편, 연근영양떡, 포도설기, 생강호두강정, 호박인절미말이 등이 선보이고 굳지 않는 떡 기술까지 개발되고 있다.


​한국전통떡류식품산업연합회는 우리나라 떡 산업발전을 견인하며 떡의 대중화, 다양화, 고급화를 동시에 이루기 위한 전 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 떡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최근에는 수도권에 20개 전통 떡 우수업체를 지정한 바 있다. 협회는 우수업체지정을 통해 국민들에게 “떡으로 쌀 문제와 한 끼 식사를 동시에 해결한다.”는 쌀 소비촉진캠페인전개의 중심에 서 있기도 하다. 한편으로는 소비자들의 폭 넓은 계층과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떡 제품을 연구 개발하고 맛의 다양화를 통해 우리 떡의 대중화와 다양화에 앞장서고 있다. 


앞으로 소비자의 편의를 위해 떡과 어울리는 음료, 소스 등을 패키지로 상품화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프리미엄 떡류의 개발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외국인 입맛에 맞는 퓨전 떡 개발에도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떡 전문가의 체계적 양성과 떡 명장 발굴을 통해 장인정신과 현대기술을 접목한 명품 떡 생산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떡 산업의 영역을 넓히기 위한 단체급식용, 식사대용이나 간식용, 디저트용 등 용도별 제품개발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아울러 소비자가 안심하고 떡을 먹을 수 있도록 소규모 가공공장과 판매장에서의 위생환경도 개선할 계획이다. 비록 좁은 공간이지만 SSOP(표준위생시설기준)와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원칙을 준용한 표준시설기준을 만들어 각 업소에 보급해서 안전한 떡 제조 및 공급의 기반조성을 위해 준비 중에 있다.  


쌀 소비 확대정책은 소비자의 입장에서 접근해야 한다. 쌀 소비의 편의성과 유익한 가치가 해결의 관건이지 소비자에게 애국심을 호소할 일은 아니다. 쌀 소비를 촉진하는 길은 바로 떡의 업소를 관리하는 협회를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원하고 활동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에 충실하면 된다. 정부정책의 성공여부는 정책입안자의 전문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장의 요구를 얼마나 정책에 반영했느냐에 달려있다. 아무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전통떡류식품산업연합회가 떡에 대한 국민들의 사랑과 소비를 이끌어내어 당면한 쌀 소비를 촉진시키고 정부와 농민의 걱정을 더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