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진천군, ‘생거진천 쌀’ 품질 고도화…기능성 ‘도담쌀’ 소비시장 공략

430억 원 규모 프리미엄 쌀 산업 육성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충북 진천군(군수 송기섭)이 지역 대표 농산물인 생거진천 쌀의 가치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16일 군에 따르면 매년 4천여ha 면적에서 430억원에 해당하는 2만 1천여t이 생산되고 있는 생거진천 쌀은 대통령상 6회 이상, 한국지방자치브랜드 대상 2회,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대상 1위의 수상 했다. 

 

기능성 쌀인 도담쌀은 비만·당뇨 예방 효과가 입증된 농촌진흥청 개발 품종으로 13일 ‘특수미 생산·가공단지 조성 시범사업’의 운영 주체인 오갑리영농조합법인, 에스엠바이오와 함께 3자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으로 오갑리영농조합법인은 기능성 쌀의 안정적인 생산과 품질 관리를 담당하고, 에스엠바이오는 이를 활용한 가공 상품의 기획·개발, 위탁 판매, 마케팅을 추진하기로 했다.

 

농업기술센터는 재배기술 컨설팅, 농가 교육, 행정 지원 등을 통해 생산 기반 조성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예정이다.

 

아울러 세 기관은 기능성 쌀의 품종 선정부터 상품화, 브랜드화, 유통채널 확보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상호 협력하고, 관련 정보 공유, 실무협의를 정례화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이는 질소비료 양을 적정하게 유지를 실천하는 농가에 충북 도내 최상위권의 쌀 수매가에 40kg당 최대 6천원을 추가로 지급함으로써 밥맛, 농가 소득, 쌀 소비량 증가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남기순 진천군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융합을 통해 진천군 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변화하는 소비자 쌀 소비 트렌드에 대응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군은 2024년부터 2025년까지 2년간 총 4억 원을 투입해 초평면 일원에 21ha 규모의 특수미 생산·가공 시범단지를 조성했고, 지난해에는 ‘도담쌀’ 8t을 생산해 쌀과자 등 가공제품의 원료곡으로 활용했으며, 올해는 약 30t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