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해 쌀 생산량 353만9천톤…예상보다 3만5천톤 감소

깨씨무늬병·9월 잦은 비 영향…산지·소비자 쌀값은 안정세 유지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산 쌀 최종 생산량이 353만 9천 톤으로, 지난 10월 2일 발표한 예상치(354만 3천 톤)보다 3만 5천 톤 감소했다고 14일 밝혔다.

 

올해 10ha당 생산량은 522kg으로, 전년 및 평년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농식품부는 쌀 생산량이 예상보다 줄어든 원인으로 깨씨무늬병 확산과 9월 잦은 강우로 인한 일조량 부족 등을 복합적인 요인으로 꼽았다. 정부는 이미 지난 10월 13일, 생산 감소 가능성을 고려해 초과 생산량 중 10만 톤을 시장 격리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최종 생산량 감소에 따라 올해 쌀 초과 생산량에도 일부 변동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농식품부는 내년 국가데이터처의 쌀 소비량 발표 결과를 토대로 수급을 정밀 재전망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가을철 잦은 비로 지연됐던 수확은 대부분 완료되어 지난해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 쌀값은 이달 5일 기준 20kg당 56,954원, 소비자 쌀값은 10일 기준 64,804원으로 각각 안정세 또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정부는 앞으로 벼 매입가격, 산지 및 소비자 가격 등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수급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