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 최초 ‘콩 단백질 정밀 분석법’ 개발…대체육·두유 품종 개발 가속

농진청, 11S·7S 글로불린 성분·비율까지 20분 내 정밀 분석…푸드테크 원천기술로 주목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두부·두유·대체육 품질을 좌우하는 콩 단백질을 20분 만에 정밀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콩의 주요 단백질인 11S(글리시닌)와 7S(베타콘글리시닌)의 성분과 함량, 비율까지 정밀 측정 가능한 분석법을 확립하고, 이를 통해 맞춤형 콩 품종 개발과 식물성 식품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했다고 19일 밝혔다.

 

콩(대두)에는 단백질이 35~40% 정도 함유돼 있고, 이 중 80%가 11에스와 7에스 글로불린 단백질이며, 콩 단백질 식품(두부, 두유, 식물성 대체육) 품질은 11에스와 7에스 단백질의 성분, 함량,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진은 유피엘시(UPLC) 분석기기를 이용해 일반 콩 품종과 11에스, 7에스 성분이 일부 들어있지 않은 돌연변이 콩 품종을 비교 분석한 결과, 11에스와 7에스의 모든 구성 성분(하부유닛, subunit)을 완벽하게 구분하고, 함량과 비율도 계산할 수 있었다.

 

기존 단백질 분석법(SDS-PAGE법)으로는 분석할 수 없었던 콩 단백질의 구성 성분, 함량, 비율을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으로 1회 분석에 8시간이 걸리고, 한 번에 10개 시료만 분석할 수 있었던 기본 분석법에 비해 1회 분석 시간은 20분 정도, 한 번에 100개 시료를 분석할 수 있어 대량 처리가 가능하다.

 

이번에 개발한 분석법은 두부, 두유, 식물성 대체육 등 용도에 적합한 맞춤형 콩 품종을 개발하는 데 과학적 근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식품 분야 학술지인 Food Chemistry에 게재됐으며, 특허 출원도 완료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4월 29일 콩 단백질 정성 및 정량 분석법 기술공유회를 열고 국내 콩 디지털 육종과 식물성 대체육 관련 연구자를 초청해 이론 교육과 실습을 진행했으며, 협력 방안도 모색했다.

 

김남정 농촌진흥청 농업생명자원부장은 “이 분석법은 콩 디지털 육종과 첨단 식품 기술(푸드테크) 분야에서 필요한 핵심 원천기술이다.”라며,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