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지난 9월 문책성 면직 처분을 받은 이영호 전 대통령실 해양수산비서관이 재직 두 달간 수협 관계자들과 총 11차례 만나 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북극항로 개척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등 국정 핵심 과제를 전담하기 위해 신설된 자리를 맡았음에도, 정작 수협 조합장들과의 잦은 접촉에 집중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27일 정희용 의원(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수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5년 9월) 대통령실 해양수산비서관(전 농해수비서관)과 수협은 총 12회 만났다. 이 중 11회가 이영호 전 비서관이 재직하던 올해 7월부터 9월 사이에 집중됐다.
수협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 전 비서관은 7월 9일 임명된 직후 7월 11일 민물장어양식수협 광주금융센터를 방문한 것을 시작해, 광주·전남 지역에서 3회, 경남 지역에서 2회, 경북·강원·충청·제주 지역에서 각 1회씩 조합장과 임원진들을 만나 현안 사안을 논의했다.
또한 이 전 비서관은 수협중앙회장, 대표이사, 수협은행장 등 지도부 인사들과도 수협중앙회 본사와 대통령실에서 각각 1차례씩 만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정희용 의원이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종합한 결과, 최근 5년간 대통령실 해양수산비서관(전 농해수비서관)이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과 회의, 면담, 간담회를 가진 사례도 이 전 비서관이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 비서관은 대통령실로 기관장과 임원진들을 소환하여 업무보고를 받았는데, 해양진흥공사·해양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각 2회, 수산자원공단으로부터 1회 보고를 받았다.
그런데 당시 북극항로나 해수부 이전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기관 업무보고나 바다숲, 블루카본, 여객선 전기차 화재 대응에 대한 보고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북극항로 개척과 해수부 이전을 전담하기 위해 신설된 해양수산비서관이 전국을 돌며 수협 조합장들을 만나고 공공기관들로부터 통상적인 업무보고를 받은 것은 과거 전례를 봐도 이례적이라는 지적이다.
대통령실은 지난 9월 26일 이 전 비서관을 면직 처리하며, ”대통령비서실 소속 1급 별정직 공무원이 타인의 이익을 위하여 공정한 직무수행을 해치는 청탁을 하고, 사적 관계를 이유로 특정인에게 대통령실 출입 특혜를 부여한 사실을 확인하여, 문책성 면직 처리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이 전 비서관의 출장 내역에 대해 의원실에서 자료를 요구하자 “대통령실 직원의 출장 관련 자료는 국가안전보장, 국방, 통일, 외교 등 안보 관련 사항으로 공개될 경우 원활한 국정수행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제출을 거부했다.
정 의원은 “이영호 전 비서관은 북극항로 개척 등 본연의 업무보다 수협 조합장과 산하 공공기관 등을 만나며 ‘자기 정치’를 하는데 치중한 건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며, “대통령실은 면직 경위는 물론, 이 전 비서관이 어떤 청탁을 했고, 누구에게 대통령실 출입 특혜를 부여했는지 국민 앞에 보다 소상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