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농어촌 지역 간 삶의 질 격차가 여전히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는 ‘2025 농어촌 삶의 질 지수’를 발표하고, 전국 139개 시‧군의 경제력, 복지 수준, 문화 접근성 등을 종합 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평가에서 전북 완주군과 경기 이천시가 각 부문 1위를 차지한 가운데, 농어촌 군 지역은 문화·인프라 분야에서 여전히 취약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위원장 장태평, 이하 농어업위)는 19일 전국 농어촌 시·군 139곳을 대상으로 산출한 ‘2025 농어촌 삶의 질 지수’를 공개했다. 이 지수는 경제, 보건·복지, 문화·공동체, 환경·안전, 지역활력 등 5개 영역 20개 지표를 기반으로, 객관적인 통계자료를 종합 분석한 통합 평가 수치다. 지수는 전국 139개 지자체 가운데 ▲농어촌 군 79개 ▲도농복합시 50개(인구 50만 이상 도시형 10개 제외)를 대상으로 산출됐으며, 상위 30% 지역에 대한 순위가 공개됐다. 농어촌 지역의 유형에 따라 주민 삶의 질 지수에는 뚜렷한 격차가 나타났다. 농어업위에 따르면 농어촌 군 지역의 평균 점수는 37.26점, 도농복합시는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어업위’, 위원장 장태평)는 19일 제25차 본회의를 서울 aT센터에서 개최했다. 장태평 위원장을 비롯해 정부위원 2명과 위촉위원 19명 등 모두 22명의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회의에서 1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하고, 4건의 안건을 보고했다. 심의 안건은 '청년농업인 육성 및 지원 중장기 정책 방안(안)'으로 농어업위가 ’24년부터 4회에 걸쳐 청년농업인 권역별 현장간담회(중부권, 호남권, 영남권, 충청권 150여명 참석)를 개최해 생생한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학계, 관계부처 및 농업인 단체 등 12명의 전문가 논의를 거쳐 청년농업인의 안정적인 영농정착과 농업의 성공적인 세대전환 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예비농업인제 도입을 통한 창농 준비지원 강화, ▲선도 농업법인의 시스템을 활용한 청년농업인 성장 지원, ▲청년농업인의 창업 후 성장을 위한 후속지원 방안,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자체 주도의 청년농업인 육성, ▲사업성 및 경영능력 평가를 통한 자금지원 방안 마련 등이다. 보고 안건으로는 농어업위가 작년부터 발표해 온 '농어촌 삶의 질 지수'로 작년에 이어 올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