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이하 중수본)는 25일 충남 당진시 소재 돼지 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진됨에 따라 이날 관계부처와 지방정부가 참여하는 중수본 회의를 개최하고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상황과 방역 대책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생은 지난 24일 돼지 폐사로 농장주가 당진시 소재 동물병원에 진료를 의뢰했고, 의심 증상이 있어 농장주, 동물병원 수의사가 신고하여 정밀검사를 진행한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 양성이 최종 확인됐다.
이는 지난 9월 경기 연천군에서 확인된 이후 2개월 만에 추가로 발생한 것이며, 올해 여섯 번째로 확진된 사례로 충남에서는 첫 발생로 중수본은 즉시 초동방역팀 및 역학조사반을 현장에 파견해 외부인, 차량의 농장 출입 통제하는 한편, 추가확산 방지를 위해 발생농장의 돼지 1,423마리를 살처분하고, 소독 및 역학조사 등 긴급방역 조치 중이다.
특히 농장 간 수평전파를 차단하되 사람, 차량의 이동 통제에 따른 양돈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생지역인 충남 당진시를 포함한 전국에 25일 09시부터 27일 09시까지 48시간 동안 돼지농장, 도축장, 사료공장 등 축산 관계시설 종사자와 차량에 대한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을 발령하고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또한 중수본은 발생지역 내 바이러스 확산 차단을 위해 공동방제단 방역차 5대, 지방정부 보유 방역차 18대, 농협 임차 방역차 8대 등 가용한 소독 자원 31대를 총동원하여 충남 당진과 인접 서산시, 예산군, 아산시 소재 돼지농장, 주변 도로를 집중적으로 소독하고 있고, 농식품부 1명, 검역본부 2명 총 3명으로 구성된 중앙기동방역기구 인력을 발생농장에 파견하여 살처분과 매몰, 잔존물 처리 등 현장 상황을 총괄 관리하고 있다.
아울러 발생농장 반경 10km 방역대 내 30호 농장과 발생농장과 역학관계가 있는 돼지농장 106호에 대해서는 긴급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있고, 역학관계가 있는 동일 도축장 방문 역학농장 611호를 대상으로는 임상검사를, 339대의 차량에 대해서는 세척·소독을 각각 실시하고 있다.
중수본은 돼지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추가 발생함에 따라 11.25일부터 전국 모든 지역에 대한 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상향 조정하여 발령했다.
이와함께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추가 발생 및 수평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방역대와 역학 관련이 있는 돼지농장 136호를 대상으로 1·2차 임상 및 정밀검사를 일주일 이내에 조속히 마무리하고, 이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매주 1회 임상검사를 실시한다.
지자체는 권역화지역 내 농장에서 도축장 출하 등 돼지 이동 시마다 임상,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이하 방역본부)는 위험지역 농장 이상 유무 확인을 위한 전화 예찰을 매일 실시한다.
전국에 있는 모든 양돈농장을 대상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상황을 전파하고 농장 소독과 차단방역 수칙 등을 방역본부와 한돈협회 등을 통해 집중 홍보한다고 중수본은 설명했다.
이번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으로 살처분되는 돼지는 1,423마리로 전체 사육 마릿수(1,194만 7천 마리)의 0.01% 이하 수준으로 국내 돼지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며, 중수본은 앞으로도 수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수급 관리를 빈틈없이 해나갈 계획이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올해 이전까지 발생한 5건의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모두 경기 북부에서 발생하였으나, 이번에는 우리나라 돼지사육 규모가 가장 큰 충남에서 발생하여 사안이 중대하고 또한 전국 확산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용한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하여 더 이상의 추가 발생이 없도록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방지에 총력을 다하라”고 지시했고, “그간 충남 지역에서는 양돈농장은 물론이고 야생멧돼지에서도 ASF 검출이 없어 야생멧돼지 주요 활동 지역인 경기·강원 및 경북지역 중심으로 발생했던 그간 발생 양상과 차이가 있으므로, 전국 지방정부에서는 야생멧돼지에서 ASF 검출이 없었던 지역 농장에서도 언제든 ASF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인식하에 예찰·소독·점검 등 방역관리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