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김진수 칼럼> 물가인상 부추기는 BBQ치킨

새 정부가 출범한 후 장관 청문회 등 사회 분위기가 어수선한 틈을 타서 부동산가격이 올라가고 식품재벌 하림의 장남 재산상속 문제가 불거지는가 하면 서민들이 즐겨먹는 BBQ치킨이 기습적으로 값을 인상하는 등 기업의 모럴헤저드가 여기저기에서 계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너시스 비비큐가 2017년 5월 1일 10개 품목 가격을 평균 10% 인상한 데 이어 2017년 6월 8일 다시 20여개 품목의 가격을 또 다시 올렸다. BBQ가 1, 2차로 나눠 가격 인상을 단행한 데에는 가격 인상으로 인한 부정적 여론과 정부의 압박 등을 고려한 것이라는 얄팍한 꼼수가 숨겨져 있다는 것이다. BBQ는 가맹점들이 지속적인 인건비 및 임차료 상승과 배달 앱 수수료 부담이 커져 치킨 값을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2013년 이후 2016년까지 신선 닭 가격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가격에는 전혀 반영하지 않고 오히려 가격을 두 번이나 기습 인상함과 동시에 소비자에게 가격인상에 대한 부담을 전가시키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상요인으로 밝힌 가맹점의 임차료와 인건비 상승은 본사와 가맹점 간의 문제이며, 임차료와 인건비 상승은 지역 사정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동일하게 상승하는 품목이 아니기 때문에 가격을 똑같이 올리는 것은 불합리하므로 소비자단체는 행동을 통해 제너시스 비비큐의 치킨 값 기습인상을 막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BBQ가 한 달여 만에 또 다시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불매 운동과 함께 “동네 치킨을 사먹자”고 구체적인 행동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경제가 어렵고 근로자들의 실질소득이 줄어들어 사회구성원이 서로 양보하고 배려하여야 할 때에 소비자의 사정은 아랑곳하지 않고 큰 인상요인이 없음에도 사회불안을 틈타 기습적으로 제품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말할 수 없다.


13일 BBQ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BBQ 본사 임원이 언론과의 통화에서 부적절한 언행으로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해당 임원은 한 언론사 기자의 “다른 업체와 비교해 가맹비용과 로열티가 높다”는 지적에 대해 “비싸면 BBQ 안 사 먹으면 되지 않느냐?”며 “자본주의 국가에서 가격결정은 시장과 기업의 몫인데 무조건 소비자라는 이유로 기업을 못살게 군다”라고 발언한 사실이 보도를 통해 파장이 일고 있다. 마치 최순실 딸 정유라의 돈이면 최고라는 SNS발언과 똑 같은 느낌을 지워버릴 수 없다.


물론 가격의 결정은 시장과 기업의 몫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제반 사회의 환경과 여건에 따라 가격의 결정도 연동되어져야 한다. 비단 치킨만 원자재가 오르고 배달비용이나 임대료가 치솟은 것이 아니다. 경기가 오래 침체되고 외국의 값싼 물건이 물밀 듯 몰려오기 때문에 많은 국내 생산품들이 밑지고 떨이 판매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고 소득이 작은 서민들의 생활은 팍팍하기만 하다.


새 정부가 출범해서 서민들이 살아가는데 생필품이나 쉽게 사먹을 수 있는 먹거리의 가격이 안정되기를 바라고 정부도 국민들을 위해서 물가인상을 막고 사회를 안정되게 하려 노력하고 있는 때이다. 교묘하게도 대통령선거가 막바지이던 때에 1차로 그리고 새 정부가 제대로 안착하지 못한 때에 2차로 나누어서 인상했다는 것은 다분히 의도적이지 않을 수 없다.


이번 사태의 결과가 BBQ치킨 값만 오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치킨 값도 덩달아 오르고 다른 식품가격도 줄줄이 따라 오르게 된다는 것이다. 정부도 이번 사태를 강 건너 불 보듯 할 것이 아니라 초기에 사태를 진정시켜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기업도 경영에 어려움이 많겠지만 새 정부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때까지 가격인상을 자제하고 인상요인이 있을 경우에는 정부나 소비자들에게 분석 자료를 제시하고 충분히 설명한 후 처리하는 지혜를 발휘해 주기를 바란다. 정부와 소비자의 도움 없이는 기업이 정상적으로 가동하기는 힘들 것이다. 정부도 일정한 시점에 가서는 BBQ 뿐만 아니라 모든 기업들의 어려운 경영실태를 점검하고 건실한 운영이 될 수 있도록 문제해결책이 무엇인지 그 해답을 곰곰이 찾아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8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