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내 제약사 약물부작용 신고 `저조'

국내 제약기업들의 약물 부작용 신고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지난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제약업체가 식약청에 보고한 약물이상 반응 내역 가운데 국내 제약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3~11% 수준에 그쳤다.

식약청에 따르면 제약사가 의료진으로부터 수집해 식약청에 보고한 의약품(혈액.생물학제제 제외) 부작용 신고 가운데 국내 업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2004년 3%에서 2005년과 2006년에는 11% 수준으로 늘었으나 지난해 7%로 다시 떨어졌다.

이는 2004년 이후 평균 9% 수준에 그치는 것이다.

국내 부작용 신고 전체건수는 지난해 기준으로 인구 100만명당 약 75건으로 미국의 1568건, 일본의 226건에 비해 훨씬 적을 뿐 아니라 세계보건기구(WHO) 평균치인 약 100건보다도 25%나 적은 수치다.

신고 건수만 놓고 봤을 때 국내 제약사들이 의약품 안전성 관리에 미흡하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식약청 관계자는 "국내 제약사들이 의약품 판매 후 이상반응 보고 등에는 소극적인 편"이라며 "하지만 최근 들어 국내 제약사들의 부작용 신고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국내 제약사 가운데는 지난해 종근당과 한독약품이 처음으로 식약청장으로부터‘부작용 모니터링 유공자’표창을 받았다.

한편 의약품 이상반응 신고건수는 2004년 907건을 기록한 이래 연도별로 1841건, 2467건, 3750건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제약업체 신고건수는 2004년 708건, 2005년 1521건, 2006년 2129건, 2007년 2142건으로 의료인 등의 개인차원 신고 비중이 확대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