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품사-유통사 PB놓고 치열한 신경전

한국유통학회 주최, 상생방안 세미나

이마트, 롯데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들의 PB 상품 늘리기와 관련 식품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극심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한국유통학회(회장 한장희 전남대 교수) 주최로 25일 열린 '대형유통업체와 식품제조업체의 상생협력방안' 세미나에서 식품제조사는 'PB상품 늘리기가 장기적으로 경영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입장인데 반해 유통업체는 'PB=불공정으로 보는 것은 무리'라고 반박하는 등 신경전이 치열했다.

이광림 한국체인스토어협회 기획팀장은 유통업체의 PB상품 늘리기 발표이후 다양한 시각이 분분하다며 기대뿐아니라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사실이라고 전제했다.

이팀장은 우선 국내 유통사들의 PB상품 출시는 아직 초기 단계라며 2006년 기준으로 국내 3대 유통 메이저 3사의 PB상품 비율은 적게는 9.6%, 많게는 18.9%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팀장은 제조사에서는 유통사의 PB 늘리기를 불공정거래로 몰아 부치지만 유통업체 시각에서는 불공정 거래가 아니라고 못박았다.

또한 이팀장은 최근 공정거래법이 강화돼 식품제조사에서 주장하듯 판촉사원 요구, 프로모션시 비용 전가 등의 행위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팀장은 대신 식품업계에는 중소 식품사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제품 수준이 비슷할 때는 상위업체가 유통을 점유할 수 밖에 없다며 이해를 구했다.

이팀장은 PB든 NB든 자율경제체제에서의 끝은 소비자가 이익을 받는지 여부라며 현재 국내 유통업체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나 이로인해 이익은 소비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팀장은 식품제조사에서는 PB를 부정적으로 보나 중소식품업체에는 하나의 기회라며 PB에 대한 장점을 소비자에게 인식시키면 소비자, 유통업체 식품업체 모두가 이익이 되고 이것이 상생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대해 김관현 한국식품공업협회 기획홍보부장은 1996년 유통시장 개방이후 유통업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갈등도 늘고 있다고 전제했다.

특히 김팀장은 이같은 갈등구조가 식품사와 유통사의 수직적 구조를 만들어 결국 식품업체들이 유통사의 PB늘리기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김부장은 식품제조사가 현재 유통사로 부터 받는 피해를 낱낱이 폭로했다. 김부장은 정부가 영세 납품업체를 보호하는 대책을 세웠음에도 특정 식품의 매출이 적으면 퇴출시키고 신제품의 경우도 일정 수준의 매출에 미달되면 퇴출시키는 등 유통사의 횡포가 심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행사 참여요구, 판촉비 및 광고비 등을 공급업체에게 전가시키는 행위가 여전하다고 덧붙였다.

김부장은 유통사의 PB제품에 대해서도 강도높게 비난했다. 김부장은 PB는 유통사가 독자적 또는 제휴해 만든 제품이지만 말이 PB지 NB를 모방하거나 포장을 변경하는 등 무늬만 새로운 제품이라고 질타했다. 특히 김부장은 현재 유통매장의 소위 골든존에는 PB진열도가 62%에 달한다며 시정을 요구했다.

김부장은 일부 유통사는 향후 PB제품 비율을 30%까지 늘리겠다고 공공연히 밝히고 있다며 이경우 당장은 식품업계 매출이 도움이 될지 모르나 장기적으로는 제조사 경영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김부장은 끝으로 유통사들이 제조사와의 상생을 여기하고 있지만 포장이나 이름만 바꾼 PB제품의 출시로는 윈-윈 할 수 없다며 진정으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에대해 공정거래위원회 장형신 사무관은 대형유통사의 횡포를 막기 위해 개정한 대기업 소매업 고시가 4월1일부터 시행된다며 불공정 거래 행위에 대해서는 정부가 철저하게 감시하겠지만 식품제조사들오 PB에 밀리지 않도록 자생력을 키우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