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유통업체 PB확대에 식품업체 속수무책

한국유통학회 설문조사 결과

대형유통업체의 PB상품 확대에 식품제조업체들이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유통학회가 24일 유통시장의 변화와 식품산업 발전방안 모색을 위해 실시한 연구용역 결과 PB상품에 대해 업체 2곳(8%)만 '기회'라고 답했고 3개업체(12.5%)는 '심각한 위기', 15개업체(62.5%)는 '위기라고 생각하지만 분위기상 따라가는 입장'이라고 답했다. 즉, 응답 식품업체의 약 75%가 PB상품의 확대를 위기상황으로 인식하고 있다는게 유통학회의 설명이다.

유통학회는 기회라고 답한 식품업체 2곳은 연간 매출이 200억원 미만의 중소업체로 영세하거나 소규모 업체들은 대기업과 달리 유통망을 갖고 있지 않아 판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런 상황이 자사 제품의 판로를 개척하고 안정된 판매처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기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유통학회는 대신 현재 PB상품을 공급하고 있는 대다수의 업체들도 이 상황을 위기로 보고 있었다며 양면성을 지닌 식품제조업체의 입장을 꼬집었다.

식품업체와 대형마트 거래시 어떤 점이 경영에 가장 악영향을 미치냐는 질문에는 20%가 '부당거래 행위로 인한 납품단가 인하요구'를 꼽았고 다음으로는 '판매 장려금 요구(19%)' '덤행사 요구(14%)' '판촉비 및 광고비 전가(10%)'가 그 다음을 차지했다. 기타로는 '갑작스런 발주 중단' '판촉사원 파견 강요' 'PB 품목 강요' '부당 반품 요구'등이 꼽혔다.

대형마트에 PB상품을 공급하면서 부당한 거래를 경험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경험했다'는 답이 32%나 됐다. 또한 '포장변경에 비용 전가(27%)' 'PB제품의 가격 인하 요구(21%)' 'PB제품에 대한 판촉행사 비용 부담(11%)' '판촉사원 파견 요구(6%)'의 순으로 부당 요구를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통학회는 PB상품은 유통업체가 자체적으로 상품을 개발 또는 위탁 생산을 하도록 한 뒤, 자신의 점포에서만 판매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제품의 관리, 판매 모든 것을 유통업체가 책임지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하나 이번 조사결과 유통업체의 부당거래가 입증됐다고 밝혔다.

PB제품에 대해 만족도를 점수(7점 만점)로 정하라는 물음에는 응답한 업체들의 평균 점수가 3.79에 그쳤다. 보통의 기준을 4점으로 할 때 만족도는 기대에 못미치는 수준이라고 유통학회는 꼬집었다.

유통학회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 "납품업체들은 PB상품의 공급이 준비된 자사의 전략적 선택이라기보다 유통업체가 주도하는 전략에 수동적으로 대응하고 유통업체와의 관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제조업체들은 이 상황을 위기로만 보지 말고 이를 기회로 삼아 전략적 대안을 마련하고 유통업체들은 식품제조업체들을 경영 파트너로 생각해 함께 상생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