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물가안정 압력 식품업계 ‘한숨’

이명박 대통령의 물가안정 메시지와 관련 식품업계가 깊은 한숨을 내쉬고 있다.

지난 17일 이명박 대통령은 지식경제부 보고에서 생활필수품 50개의 물량수급을 정부가 직접 관리해 서민물가를 안정시키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이 제시한 생활필수품 50개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되고 있진 않지만 지식경제부가 조만간 생필품 50개를 추려내 관련 물가지수를 따로 발표하기로 하는 등 정부의 물가잡기가 본격화되게 됐다.

하지만 정부의 이같은 움직임에 식품업계는 좌불안석이다.

1차적으로 해당 식품가격을 올리기는 했으나 원자재가격의 폭등과 유가인상이 계속된다면 2차 가격 인상도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최근엔 환율까지 달러당 1000원선을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어 원자재 수입이 많은 식품업계를 옥죄고 있다.

식품업계는 환율이 10원이 오를 경우 업체들이 추가로 부담하는 비용이 10억원에서 많게는 5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더욱이 지식경제부가 확정할 생활필수품 50개에는 식품이 다수 포함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통계청이 발표하는 생활물가지수에는 라면, 국수, 빵, 식빵, 햄, 생선통조림, 어묵, 우유, 발효유, 참기름, 식용유, 스낵, 초코파이, 빙과, 설탕, 고추장, 간장, 된장, 커피, 콜라, 과일주스, 맥주, 소주 등 가공식품이 망라되어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식품업계는 혹시 서민물가 불안정의 공공의 적으로 식품이 찍히는 것 아니냐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이명박 대통령은 취임후 첫번째 가진 청와대 수석 비서관 회의에서 세계 곡물가 인상과 관련 라면값이 100원 올라 서민들에게 큰 타격이 될 수 있다는 발언을 해 식품업계를 화들짝 놀라게 한 바 있다.

또한 기획재정부는 국세청과 소비자단체 물가모니터요원등이 참여하는 상시물가 합동점검반을 운영해 지난 1~2월중 가격이 작년말 대비 2% 이상 오른 밀가루, 부침가루, 식용유 등 83개 품목을 점검, 이중 가격을 과도하게 올린 것이 드러난 업체에 대해서는 세무조사 등 행정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혀 식품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한국식품공업협회 송성완 차장은 “서민물가를 잡겠다는 정부의 입장에 대해 식품업계도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하지만 가격이 급등한 품목에 대해서는 원자재 가격의 관세율을 인하하는 등의 현실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송 차장은 “정부가 식품업계의 안정적인 원자재 수급을 위해 해외농장개발에 나서는 등 장기적인 대책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