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와 음료업계가 빈병 취급수수료 인상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유통업체들은 자신들의 대표 단체를 내세워 빈병 취급 수수료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위해 한국체인사업협동조합, 전국종합주류도매업중앙회,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 한국체인스토어협회 등 유통 4개 단체는 아예 한국용기순환협회 회원으로 등록해 음료업체들을 옥죄고 있다.
이들은 지난 4일 한국용기순환협회에서 개최한 회의에서도 빈용기 취급 수수료의 인상을 집요하게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빈용기 취급 수수료 인상을 요구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 인건비와 장소 임차료, 유류대등이 크게 올라 지금의 취급 수수료로는 빈병을 취급할 수 없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라고 음료업계는 전했다.
현행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18조의 3에서는 빈병 취급수수료를 용량에 따라 최소 5원에서 최대 20원까지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음료업계가 이를 받아 들이지 않자 유통단체들은 환경부에 중재를 요청했고 환경부는 용역을 통해 인상 여부를 결정하자는 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음료업계는 거부의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음료업체측은 현재 소비자들에게 공급되는 음료 대부분이 페트병으로 바뀌어 유통업체들이 받고 있는 빈병은 거의 술병이라며 용역결과 인상이 결정될 경우 음료업체들도 취급수수료를 같이 인상해주어야 불합리가 생길 수 있으므로 용역도 필요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음료업계는 최근 정부가 물가 인상 억제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마당에서 취급수수료 가 인상되면 소비자 판매가를 인상할 수 밖에 없어 빈병 취급수수료 인상을 절대 찬성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음료업계 관계자는 “회수되는 빈병의 대부분이 술병인데도 불구하고 음료업체에까지 빈용기 취급수수료 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앞으로는 주류와 별도로 산정체계를 적용해야 음료업체들이 피해를 보는 없을 것”이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