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발암가능물질로 꼽히는 곰팡이 독소에 대한 안전관리에서 다른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뒤처져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정기혜 식품영양정책팀장은 6일 보건복지포럼 2월호에 게재한 `국내외 곰팡이 독소류의 관리 현황 및 정책과제란 글에서 "최근 식품안전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식품 중 곰팡이 독소류의 안전성 확보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곰팡이 독소류는 유해 곰팡이 등에 의해 생성되는 2차 대사산물로 포유동물인 인간과 동물에 유해한 작용을 하는 유독물질을 말한다. 아플라톡신을 비롯해 오크라톡신, 파튤린, 푸모니신, 데옥시니발레놀, 제랄레논 등 유해한 영향을 주는 곰팡이 독소만도 10∼20종류에 이른다.
이 중에서 아플라톡신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구(IARC)에서 인체 발암성이 확실한 제1군의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간괴사, 간경변, 간암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푸모니신도 장기간 노출되면 식도암의 발생률을 높이는 것으로 전해져 IARC에서 발암가능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식품 중에는 곡류, 두류 및 그 가공식품 등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품들에 곰팡이 독소가 흔히 발생한다.
곡류 특히 쌀을 주식으로 하는 데다, 유익한 곰팡이에서 기인하는 발효식품을 많이 먹으며, 여름철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식품 곰팡이가 쉽게 번식할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주의해야 할 위해물질로, 국가적 안전관리가 필요하다고 정 팀장은 강조했다.
그렇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제기구와 유럽, 미국이 동물이나 인체에 치명적인 위해를 줄 수 있는 거의 모든 곰팡이 독소류의 기준규격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곰팡이 독소류 중에서 아플라톡신과 파튤린에 대해서만 식품과 사료의 허용기준을 두고 있을 뿐이라고 정 팀장은 설명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푸모니신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인 데다, 대부분의 식용 및 사료용 옥수수를 비롯해 상당량의 식품과 사료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푸모니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체계적인 오염실태조사가 실시되지 않아 정확한 위해정도 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 팀장은 "우리나라도 식품속 곰팡이 독소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타당한 규제방안을 만들어 감시 관리해 나가야 하며, 특히 많은 농산물을 수입 외국산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 수입식품 검역체계를 한층 강화해 곰팡이 독소류에 오염된 식품의 수입을 원천 차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