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내 쌀소비 감소 심각

전통 주식인 밥이 육류.채소 등에 밀리면서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당 채 한 가마니의 쌀도 먹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007 양곡연도 가구부문 1인당 쌀 소비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76.9㎏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6년의 78.8㎏보다 2.4% 적은 량이다.

연간 쌀 소비량은 ▲ 2002년 87.0㎏ ▲ 2003년 83.2㎏ ▲ 2004년 82.0㎏ ▲ 2005년 80.7㎏ ▲ 2006년 78.8㎏ ▲ 2007년 76.9㎏ 등으로 해마다 줄어드는 추세다.

작년 1인당 1일 쌀 소비량 역시 1년 사이 2.4% 감소해 210.9g에 그쳤다. 하루 평균 2공기 정도의 밥만 먹는 셈이다.

통계청은 이같은 쌀 소비 감소에 대해 "참살이(웰빙) 문화 확산과 맞벌이 부부 증가로 채소.육류.어류.식빵.떡.국수.라면.즉석밥 등 쌀 대체 식품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 1997~2006년 1인당 연간 식료품 소비량 변화를 살펴보면 육류는 10년동안 29.3㎏에서 33.6㎏으로, 과일류는 58.0㎏에서 62.2㎏으로, 채소류의 경우 148.5㎏에서 154.0㎏으로 각각 늘었으나 쌀만 102.4㎏에서 78.8㎏으로 크게 줄었다.

그러나 다른 아시아권 나라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우리의 쌀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2006년 기준 일본과 대만 국민들은 한 사람당 각각 61.0㎏, 48.0㎏의 쌀을 소비, 2007년 기준 한국인 소비량(76.9㎏)을 크게 밑돌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국민들이 밥 뿐만 아니라 어떤 것도 먹지 않고 끼니를 거르는 횟수는 한해 평균 17.6회로 집계됐다. 이는 2006년의 19.0회보다 1.4회(7.3%) 감소한 것이다. 건강관리, 식습관 개선, 주5일제 등의 영향으로 아침밥 등 끼니를 챙겨먹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한달 평균 가장 많은 3.7끼니를 건너뛰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남자보다는 여자의 결식율이 높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