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북도, ‘들녘특구’ 6차산업 모델 안착...들녘한끼 식당 연매출 5억 기대

우리밀·콩 활용 새참 메뉴 개발·농촌체험까지 확대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경북도(도지사 이철우)는 농업대전환 핵심 사업인 들녘특구가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을 통한 규모화·기계화로 일반 벼농사 대비 두 배 이상의 농가소득을 올리는 가시적인 성과에 이어 콩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6차산업을 접목해 지난 6월 우리 농산물 새참 전문식당인 들녘한끼 1호점을 열어 운영하고 있다. 

 

21일 도에 따르면 들녘한끼 식당은 공동영농을 하는 110ha의 넓은 들녘에서 직접 생산한 우리밀과 콩을 활용해 관광객들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새참메뉴를 개발했고 순두부짬뽕(밥)은 지역 대표 시그니처메뉴로 성지콩밭 맛집이자 우리 농산물의 성지로 만들고 있다.

 

농번기에는 들녘으로 직접 새참을 배달하고, 지역 관광지나 펜션 등과 연계한 가족 단위 코스요리를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서비스도 선보여 현재 하루 평균 200여 명이 찾을 정도로 성황리에 운영 중이며, 개점 2개월 만에 9천만원의 매출을 기록해 연간 5억 4천만원 이상의 수익이 기대된다고 도는 전했다.

 

특히, 요리에 사용되는 쌀, 고추, 가지, 양파 등 모든 농산물은 지역에서 생산하는 재료를 사용해 식당 방문객과 관광객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고 지역 농업인과 상생하며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며, 식당 외에도 특구에서 직접 가공해 판매하는 즉석두부와 콩물 역시 한 번 찾은 고객은 마니아가 될 정도로 재구매율이 높아 연매출 3억 원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고 소비층이 더욱 두꺼워져 소득이 증대될 것으로 도는 예상했다.

 

오는 11월에는 농촌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으로 경주를 찾은 관광객이 생산에서부터 가공, 체험, 요리까지 한자리에서 맛보고 즐길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6차산업의 새로운 모델로 성장하고 있다.

 

들녘특구의 또 다른 모델인 구미 특구는 우리밀을 전문적으로 가공해 신제품 구미밀가리를 출시했고 포항 특구는 체험전용 딸기 하우스와 동화나라체험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울진 특구는 두유 전문가공업체인 다원과 검정콩 계약재배를 통해 6차산업 소득 창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영숙 농업기술원장은 “민선 8기 도지사 핵심공약으로 추진한 들녘특구 사업이 농업대전환의 목표 ‘농가소득 두배 달성’을 넘어 농산업으로의 전환을 이루고 있다”며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통해 대한민국 농업 혁신의 표준 모델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9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