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름을 이기는 음식, ‘이열치열(以熱治熱)’ vs ‘이열치냉(以熱治冷)’

삼계탕, 열이 많거나 뇌심혈관질환자 주의해야
냉면, 메밀의 찬 성질 무와 함께 먹는게 좋아

음식의 영양보다 각 체질에 맞게 먹는 것이 중요


열은 열로써 다스린다는 이열치열. 열이 날 때에 땀을 낸다든지, 더위를 뜨거운 차를 마셔서 이긴다든지, 힘은 힘으로써 물리친다는 따위에 흔히 쓰이는 말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대부분 음식에 빗대어 이열치열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무더운 날에는 뜨거운 음식으로 몸을 다스려야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여름철에는 팔팔 끓인 보양식이 대부분이다. 여름철 대표 보양식인 삼계탕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삼계탕은 영계의 뱃속에 찹쌀, 인삼, 대추, 마늘을 함께 채워 넣고 황기 물에 푹 삶아 만든 음식으로 계삼탕(鷄蔘湯)이라고도 불린다.

 

또 성질이 따뜻한 닭과 함께 인삼·황기·마늘 등을 넣어 위장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여름철 땀을 많이 흘려 체내의 부족한 기운과 잃었던 입맛을 돋워주는 명약으로도 알려졌다.

 

예로부터 복날 삼계탕을 먹는 풍습은 지혜롭게 여름을 나는 방법 중 하나였다.

 

삼계탕에 들어가는 인삼은 체내 효소를 활성화시켜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피로 회복을 앞당긴다. 마늘은 강정제 구실을 하고 밤과 대추는 위를 보하면서 빈혈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삼계탕의 경우 성질이 뜨거운 음식이므로 평소에 열이 많거나 고혈압 뇌졸중 등 뇌심혈관질환이 있는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

 

또한 여름철 대표 음식의 하나는 냉면이다.

 

냉면(冷麪)은 차게 식힌 국물에 국수를 말아서 만든 음식으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서는 메밀국수를 무김치와 배추김치에 말고 돼지고기를 섞은 것을 냉면(冷麪)이라고 기록했다.


기록을 보면 냉면은 음력 11월의 시절음식으로 소개했지만 오늘날은 여름철 대표 음식이기도 하다.

 

냉면은 지방마다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메밀가루에 녹말을 섞어 국수를 만든 다음에 편육·오이채·배채·쇠고기볶음·삶은 달걀 등의 고명을 얹고 국물을 부어 만드는 음식이다.

 

냉면육수로는 쇠고기를 비롯해 꿩이나 닭고기를 고아 만든 국물이 있으며 또는 시원하게 익은 배추김치 국물이나 동치미국물, 동치미국물과 육수를 섞어 만든 국물이 쓰인다.

 

냉면의 종류는 크게 평양냉면, 함흥냉면, 진주냉면이 있다.

 

평양냉면은 메밀가루에 녹말을 약간 섞어 국수를 만든 다음 꿩 탕과 동치미국물을 붓고 돼지고기삼겹살·무채김치··삶은 달걀을 얹은 다음 잣·실고추·겨자·초 등으로 맛을 낸다.

 

함흥냉면은 함경도지방에서 많이 생산되는 감자녹말로 국수를 만들어, 국수의 올이 소의 힘줄보다 질기고 오들오들하며, 가자미나 홍어 등 생선으로 회를 쳐서 고추장으로 양념해 국수에 얹어 맵게 비벼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진주냉면은 순 메밀로 냉면국수를 만들며 쇠고기를 삶아 수육으로 썰고 국물은 냉면육수로 쓰고 돼지고기는 쓰지 않는다.

 

냉면에 주로 쓰이는 메밀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메밀이 위를 실하게 하고 기운을 돋우며 오장의 노폐물을 배출시킨다고 했으며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소화를 촉진해 1년 동안 쌓인 체기도 내려준다고 했다.

 

또 전분은 발한 해열제로 사용되고 주독해소에 좋으며 위장장애, 소화불량 해소에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갈증해소, 이뇨작용과 지사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냉면 육수는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주고 식초는 땀을 많이 흘린 후에 피로 회복의 역할을 하며 겨자는 여름철 배탈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대신 냉면에 주재료인 메밀은 찬 성질이기 때문에 몸이 찬 사람이나 소화가 잘 안 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많이 먹을 경우 원기를 빼앗기기도 한다고 의서에 나와 있어 되도록 적게 먹거나 무와 함께 먹는 것이 좋다고 한다.

 

여름을 이기는 음식에는 이 외에도 많지만 무더위를 이기는 방법은 남들이 좋다는 음식을 먹는 것 보다 내 몸과 체질에 맞는 음식을 먹어야 건강한 여름을 날 수 있는 방법이다.

관련기사

8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