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건강 챙기려면 홍삼?”은 옛말. 2024년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소비자 선택은 ‘비타민·무기질’로 기울었다. 관련 제품 생산액은 5,4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4.4% 급증하며, 1위 자리를 지켜온 홍삼(4,592억 원)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식품안전정보원(원장 이재용)은 29일, 2024년 국내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 생산실적이 2조 7,618억 원으로 전년(2조 7,585억 원) 대비 0.1% 증가했다고 밝혔다. 수출 실적은 2억 7,864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2% 늘며 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의 생산액은 5,4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4.4% 증가하며 부동의 1위였던 홍삼(4,592억 원)을 제치고 생산실적 1위에 올랐다. 제형 측면에서도 정제와 액상을 함께 담은 이중제형 등 포장 편의성을 높인 제품군의 소비가 확대되며 수요를 견인했다. 이 같은 변화는 수출 증가로도 이어졌는데,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 수출액은 7,304만 달러로 58.0% 급증했다. 건기식 주요 기능성별 실적도 주목할 만하다. 혈행 개선(1조 1,651억 원)과 기억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KGC인삼공사의 홍삼 듀얼 안티에이징 뷰티 브랜드 동인비가 피부 자생력을 위한 ‘자생 원액 수’와 ‘자생 원액 유액’을 출시했다. ‘자생 원액 수’는 점도 높은 텍스처의 토너로 피부에 매끈하게 스며들어 피부결을 정돈해주고 ‘자생 원액 유액’은 부드러운 밀크 타입의 에멀전으로 영양감과 보습감을 동시에 채워주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자생 원액수와 유액으로 피부 기초를 다진 후 ‘자생 원액캡슐 앰플’을 함께 사용하면 고농축 홍삼 에너지 레이어링으로 탄탄하고 견고한 밀도 높은 피부를 만날 수 있고 ‘자생 원액 에센스’와 ‘자생 크림’을 더해주면 피부 노화 현상에 강력하게 대응하고 데일리 안티에이징 관리에 효과적이다. 동인비 ‘자생’ 라인은 노화 현상에 맞서 피부의 자생력을 깨우는 ‘RG진세노바이옴™’ 기술이 적용됐다. ‘RG진세노바이옴™’는 프리바이오틱스인 홍삼유효성분(홍삼향균파우더, 홍삼농축액 등)과 6년근 홍삼으로 배양한 프로바이오틱스 100억개를 최적의 비율로 배합한 동인비만의 마이크로바이옴 성분이다. 홍삼의 에너지를 담은 농밀한 고농축 원액 텍스처가 피부에 깊숙이 스며들어 영양감과 보습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동인비 ‘자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