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저출생 기조 속 부모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골드키즈’ 세대가 부상하면서 국내 어린이 키 성장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고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어린이 키 성장 기능성을 인정받은 ‘유산균발효굴추출물(FGO)’이 차세대 성장소재로 주목받으며 주요 식품·제약 대기업들이 잇달아 신제품을 출시해 시장 주도권 경쟁에 나섰다. 11일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키즈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약 2,599억 원으로 2020년 대비 약 52% 성장했다. 부모들이 가장 염려하는 자녀 건강 문제는 키 성장과 뼈 건강(36.4%)이었고, 이어 영양균형(33%), 영양보충(20%) 순이었다. 성장호르몬 주사 치료가 보험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고 부작용 우려가 커지면서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건기식 시장으로 수요가 몰리고 있다. 기존 황기추출물 복합물(HT042)이 식물성 원료로 시장을 열었다면 최근에는 유산균발효굴추출물(FGO)이 굴을 효소 분해 후 유산균으로 발효해 영양소 활용도를 높인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한국·미국·일본·유럽 등 4개국 특허를 보유하고, 국내 인체적용시험에서 6개월 섭취 시 평균 3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성장기 어린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해양 유래 기능성 신소재 ‘유산균발효굴추출물(FGO)’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기존 성장호르몬 주사 치료가 지닌 고비용·부작용 부담에서 벗어나려는 수요와 함께 임상 근거와 안전성을 갖춘 자연 유래 기능성 원료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주요 식품·제약 기업들은 잇따라 FGO를 주원료로 한 키성장 제품을 출시하며, 기능성 식품 시장에 새로운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성장호르몬 주사는 평균 신장 3% 이하 아동만 보험 적용을 받는다. 일반 저신장 아동은 연간 수백만 원에 달하는 치료비를 전액 자부담해야 하며, 성조숙증·척추측만증 등 부작용 사례도 2019년 436건에서 2023년 1,626건으로 급증했다. 이처럼 비용과 부작용 모두 부담스러운 약물 치료 대신 과학적 데이터를 갖춘 대체 기능성 소재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기존에는 황기추출물 복합물(HT042)이 식물성 기능성 원료로 시장을 열었다면 최근에는 FGO가 ‘차세대 성장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FGO, 해양 유래 기능성 소재…인체적용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