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025 GAP KOREA 행사가 지난 16일 전라남도 나주 전남도농업기술원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이 주최하고 대한민국GAP연합회(회장 정덕화·국경상국립대 명예교수)가 주관했으며, 매년 가을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활성화를 위해 농업인과 소비자가 함께하는 자리로 마련되고 있다. 정덕화 GAP연합회장은 개회사에서 “시대가 변화하면서 농업정책도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환경친화적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그 중심에 GAP제도가 있으며, 농산물 안전성은 물론 저탄소 농업을 실천하는 새로운 농정의 축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환영사에서 “GAP 농업인과 함께 GAP 활성화와 소비 확대를 위해 기술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현장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기술개발과 보급을 통해 농업인의 소득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홍문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은 축사에서 “GAP 활성화는 농산물 안전성뿐만 아니라 탄소 절감을 높이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하는 오늘 행사가 더욱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소비자 대표로 참석한 최두례 한국부인회 전남지부장도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이하 식약처)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이하 농진청)은 16일 충북 오송에서 ‘잔류농약 안전관리 협의체’를 열고, 기후 변화로 재배가 늘고 있는 아열대작물에 사용 가능한 농약 확대와 잔류허용기준 설정 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자몽에 오렌지 농약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며 농가 지원과 소비자 안전 확보에 나섰다. 최근 기후 온난화로 인해 오렌지, 자몽, 파파야, 용과, 바나나 등 기존에 대부분 수입되던 아열대작물의 재배가 제주도에서 남해안 지역 등 내륙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나, 사용할 수 있는 농약이 제한적으로 허용돼 있어 재배 농가 현장의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식약처와 농진청은 이번 협의체에서 농가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아열대 작물의 병해충 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농약 등록을 확대하고 잔류허용기준 설정 등을 논의했다. 식약처와 농진청은 특히 제주도에서 재배 희망 농가가 늘고 있는 자몽이 오렌지와 병해충 발생 시기와 재배 방법이 비슷한 특징을 고려해 오렌지에 사용하는 농약을 자몽에도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잔류허용기준 신설 등을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다. 농진청은 협의체에서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