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민주화를 위한 핵심 정책 가운데 골목상권 보호에 대한 주도권 경쟁 과정에서 이뤄진 이번 두 번째 3자 회동은 대선 후보들의 경제정책을 점검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
박근혜, ‘사전입점예고제’, ‘사업조정제도’, ‘카드수수료.백화점 등 판매수수료.은행수수료 인하’

또 박 후보는 “현재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받고 있는 ‘사업조정제도’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강화하겠다”고 공약했다. ‘대.중소기업 사업조정제도’는 대기업이 중소기업 업종에 진입할 때 일정 기간 사업 인수·개시·확장을 유예하도록 정부가 중재하는 제도다.
이어 박 후보는 “카드수수료, 백화점 등의 판매수수료, 은행수수료 등 3대 수수료가 소상공인들을 어렵게 하고 있다”며 ‘3대 수수료 인하’도 약속해 많은 박수를 받았다.
박 후보는 끝으로 “우리 경제사회에는 대기업만 존재하지 않는다. 중소기업, 소상공인, 생계형 자영업자 이 모든 주체들이 뿌리경제를 지탱하고 키워가는 귀하고 소중한 주역들이다. 어느 누구도 불공정한 구조 속에서 뒤처져서는 안 된다. 인생의 모든 것을 쏟아 붇는다는 마음으로 점포를 연 사람들이 단 한 번의 실패로 삶의 자리를 잃지 않도록 하겠다. 하루하루 생업에 종사하며 흘리는 땀과 노력이 가족의 행복, 사회의 행복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힘껏 노력하겠다”며 호소했다.
문재인, ‘소상공인 적합업종 보호특별법’, ‘대형마트 입점허가제’, ‘중소상공부’

문 후보는 “대통령 출마를 하면서 제일 먼저 시장을 찾아 ‘소상공인 적합업종 보호특별법’ 제정을 약속했다”고 말해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이어 문 후보는 “대형유통업체의 입점을 등록제에서 허가제로 바꾸고, 프렌차이즈 가맹점 등의 권익보호를 위해 본부가 경제적 횡포를 부리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공약했다.
또 문 후보는 “중소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육성하기 위해 ‘중소상공부’를 신설하고 중소 제조업 담당 차관과 중소 상인.영세 자영업자 담당 차관을 복수로 둬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끝으로 “골목상권 문제를 풀 수 있는 사람은 서민의 애환, 골목상권을 잘 알아야 하고, 안정된 국정경험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 시장에서 노점을 하는 어머니를 보며 자랐다. 대통령 후보들 중에서 유일하게 서민 출신이다. 또 대통령 후보들 중에서 유일하게 국정을 운영해 본 사람이다”며, 자신이 골목상권 보호에 적임자라고 자처했다.
안철수, ‘일자리 창출’, ‘임대료 조정 위원회’, ‘간이사업자 대상 확대’, ‘사회통합일자리기금’

안 후보는 “기초자치단체별로 가칭 ‘임대료 조정 위원회’를 설치해서 급격한 임대료 인상을 막겠다”고 공약했다.
또 안 후보는 세금 혜택이 주어지는 간이사업자 문제에 대해 “자영업자들의 오래된 숙원이었다. 현행 연매출 4800만원 이하로 되어있는 규정을 9600만원 이하로 높이겠다”고 밝혀 큰 박수를 받았다.
안 후보는 이어 “4대보험과 깨끗한 일자리를 배려한 사업주에게 ‘사회통합일자리기금’을 조성해 지원하는 방안”도 공약으로 제시했다.
끝으로 안 후보는 “현실은 IMF 환란 때보다 더 혹독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희망이 있다면 이또한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골목상권을 살리는 희망이 되고자 한다”며, 자신이 펼칠 진심의 정치를 믿고 함께 해 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