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호 태풍 곤파스가 한반도를 강타해 수확을 앞둔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고 인명피해까지 남겼다.
더욱 심각한 것은 사상최악의 수해로 인한 식량난에 생명까지 위협받는 북한주민들도 이번 태풍으로 연이어 막대한 타격을 받은 것이다.
이미 UN의 WFP(세계식량기구)가 북한을 '긴급 식량 지원국가'로 지정했고 유네스코 등 UN산하기관은 물론이고 우리나라 농촌경제연구원조차 대량아사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고 발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는 의약품과 긴급구호물품만 허용할 뿐 지자체는 물론 민간단체의 대북 쌀 지원을 제재하고 있다.
우리는 3년 연속 풍작으로 인해 올해 예상되는 쌀 재고량만해도 150만톤을 상회하고 쌀값은 15년래 최저가를 기록해 쌀값 폭락과 함께 유통대란, 창고대란의 위기에 처해 있다. 대북 쌀 지원을 제외하고는 쌀 대란을 해결할 방안도 없는 실정이다.
현재의 쌀값대란은 2008년 이후 대북지원이 중단된 때부터 이미 예견되었다.
대북 쌀 지원은 경색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고통받고 있는 북한 동포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물론 재고쌀을 해결할 수 있는 1석 3조의 효과가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다.
그러나, 우리정부는 국제구호단체를 비롯한 외국정부까지 나서 북한의 식량난에 인도적 지원의사를 밝힌 마당에 북한주민이 정작 필요로 하는 쌀은 배제하고 국제사회의 비난만 피하려는 면피용 지원만 관심을 두고 있다.
북한의 태도를 지켜보면서 쌀 지원을 재개하겠다는 정부의 입장 또한 지금도 굶주리는 북한주민들의 생명을 담보로 정치적인 이득을 취하겠다는 벼랑끝전술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계속해서 우리 정부가 대북 쌀지원을 거부한다면 민족적 책무를 저버린 비인도적인 정부, 농촌경제와 서민경제를 파탄시킨 무책임한 정부라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금이 아니면 구할 수 없는 북녘 동포의 생명이다.
진심으로 통일을 준비한다면 통일세를 말하기 전에 남아도는 쌀을 북한으로 보내 경색된 남북관계와 답답한 농민들의 숨통을 터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