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삼복더위는 여름을 실감나게 한다. 푹푹 찌는 더위는 만사를 귀찮게 한다.
선조들은 건강을 지키기 위해 삼계탕·보신탕·임자수탕·육개장 등 복날음식을 많이 먹었고,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팥빙수를 먹었다.
그러나 요즘은 아이스크림, 청량음료들이 판을 친다. 인스턴트·가공식품들은 맛과 색은 좋지만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집에서 팥빙수를 만들어 먹는다면 건강을 지키며 더위를 식힐 수 있다. 팥빙수의 재료를 체질에 따라 다르게 넣음으로 자신의 건강도 유지하고 체력도 보충을 할 수 있다.
전통적인 빙수는 팥빙수이다. 팥의 효능은 수분을 내려주고 갈증을 없애며 소변을 잘 나오게하며 다리의 부종, 복부나 손발의 부종을 없애는 데도 좋다.
체질적으로는 화와 열이 많고 갈증이 심하고 여름에 가장 힘들어 하고 잘 붓는 소양인들에게 좋다. 그러나 팥빙수의 팥을 너무 달게하면 비만이 올 수 있으므로 팥을 달지 않게 해야 한다.
팥빙수를 응용해 사상체질에 맞는 건강빙수, 한방약선빙수를 만들어 보자.
체질적으로 직선적이고 열이 많아 조금만 더워도 참지 못하고 답답한 소양인들은 열을 내리고 음기를 도와야 한다.
열을 내리고 갈증을 풀어주는 팥을 넣은 빙수를 만들고 여기에 수박, 참외, 포도, 메론 등의 과일을 올려서 먹으면 여름에 화와 열도 내리고 갈증을 없애는데 좋다.
또 소양인의 음기를 보해주는 산수유를 다린 물을 얼려서 빙수로 만들면 시원한 산수유빙수가 된다.
산수유는 신맛이 나며 떫으며 신장을 도와주며 음기를 보충하며 두통, 현훈, 눈의 침침한 증세, 요통, 소변이 자주 마려운 증세에 좋다.
비만하고 무엇이든 잘 먹고 고집이 세고 땀이 많은 태음인들에게는 기의 발산을 돕고 수분의 대사를 잘 시켜한다.
폐를 보하고 열을 내려주는 매실, 자두 등을 갈아서 즙을 내어 얼음으로 만들어 빙수를 만들고, 팥을 뺀 후에 매실, 자두, 배등을 얹어 먹으면 갈증을 해소한다.
폐, 기관지가 안 좋은 사람은 잣, 호도를 넣으면 건강에도 좋다.
또 열을 내리고 상체의 땀을 없애주는 데는 오미자 다린 물을 얼렸다가 빙수를 만들면 상체의 열도 내리고 폐와 기관지도 보해주는 오미자빙수가 된다. 오
미자는 다섯가지의 맛을 내며 진액을 보충하고 갈증을 없애고 폐의 열을 내리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몸이 차고 땀을 흘리면 탈진이 되고 꼭꼼하고 정확한 소음인들은 땀을 막으며 기의 순환을 도와 주어야 한다.
몸을 따뜻하게 하고 기순환을 도와주는 귤이나 오렌지를 갈아서 즙을 내어 얼음을 만든 후에 빙수를 만들고, 팥대신 오렌지, 귤, 사과, 복숭아를 얹어 먹으면 좋다.
또 인삼을 다린 물을 얼렷다가 빙수로 만들면 시원하면서도 몸안에 가서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소화기능도 도와주는 인삼빙수가 된다.
인삼은 기를 보하며 양기를 도와주고 몸을 따뜻하게 하고 소화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기가 많이 오르고 저돌적인 태양인들도 여름이 되면 더운 날씨의 영향을 받아서 기가 밖으로 많이 나가면 화가 많이 나고 조급해지며 급진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기를 내려주고 발산되는 것을 막아주는 포도, 머루, 다래 등을 팥빙수에 얹어서 먹으면 기를 내려주며 화와 열도 내려주어 시원한 여름을 보낼 수 있다.
또 기를 내리고 안정시키는 솔잎을 다려서 빙수를 만든 다음 여리게 여러 과일을 얹은 솔잎빙수를 만들어 먹어도 좋다. 솔잎은 열을 내리고 머리를 맑게하고 기를 내려주는 효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