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휴대전화로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

오는 8월부터 어린이와 학생들이 직접 휴대전화를 통해 고열량.저영양 식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배포된다.

또 막걸리 등 전통주와 식용 소금, 배달용 치킨, 소형 음식점(100㎡ 이하)에서 쌀과 배추김치까지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된다.

정부는 24일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정운찬 국무총리 주재로 식품안전정책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식품안전관리시행계획 추진실적 및 향후 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우선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내의 고열량.저영양 식품판매 금지 조치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이동통신 3사(SKT.KT.LGT)와 연계, 현장에서 고열량.저영양 식품 확인 프로그램을 오는 8월까지 개발.배포키로 했다.

이 프로그램은 가공식품에 표시된 영양성분 정보를 휴대전화에 직접 입력하면 자체 분석을 통해 고열량.저영양 식품에 해당되는지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정부는 또 건강에 해로운 트랜스지방을 함유하지 않은 가공식품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 오는 2012년까지 모든 가공식품에서 트랜스지방 함유 비율을 0%까지 낮출 예정이다.

아울러 가공식품 구매시 바코드 조회를 통해 위해식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현재 백화점과 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에서 중소 유통업체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소비자가 수입 쇠고기의 유통이력(원산지.유통기간.수출국 도축.가공공장 정보)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 데 이어 올해 시범실시를 거쳐 내년부터 본격 시행에 나서기로 했다.

정운찬 총리는 회의에서 "식품안전은 최소한의 삶의 질 확보라는 정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인 동시에 국격 제고를 위한 필수요소"라며 식품안전사고의 사전 예방과 사고시 대응매뉴얼 관리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