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남도, 해파리 피해 종합대책 마련 나서

경남도가 최근 남해안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 해파리 종합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는 지난 7월 30일 농림수산식품부에 해파리 피해 어업인들을 위한 지원 대책을 요청한 데 이어 한나라당-경남도 당정 간담회에서 재차 건의해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경남도에 따르면 지난 12일 서춘수 경남도 농수산국장을 본부장으로 해파리 어업피해대책반을 구성, 운영하고 있으며 해파리 피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피해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도는 13일 지역경제 살리기에 나선 한나라당 당정간담회 때 도내 어업인들의 해파리 수산피해에 대해 지원해 줄 것을 건의하는 등 어업인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 수산당국 관계자는 "해파리는 전 세계적으로 22종이 있으며, 국내 대량 출현종은 노무라 입깃해파리와 보름달물해파리 2종으로 이 가운데 노무라 입깃해파리가 수산물 피해를 제일 많이 주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는 5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해 7~9월 최고조를 보이다 10월 소멸하는 종으로 크기는 길이 1m, 무게 200㎏g까지 성장하는 대형종이며 독성이 강해 어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도 관내에서는 해파리로 인한 수산피해가 전 업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특히 기선권현망, 저인망, 정치망, 선망, 양조망, 자망, 정치성구획어업 등의 업종에서 피해가 큰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주요 피해유형으로는 해파리 대량 혼획으로 어류선별에 따른 조업시간 장기간 소요, 그물코에 해파리가 걸려 어구의 기능상실, 어구의 망구가 차단돼 어류유입 방해, 해파리로 인한 물고기 손상으로 상품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또 어업경영비가 추가로 소요돼 조업을 일시 중단하거나 어구를 철거하는 등 해파리로 인해 평년에 비해 어획량이 10~90% 정도 감소함으로써 상당한 수산피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는 해파리 피해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지난 7월 30일 해파리 피해에 대한 어업인 지원대책을 농림수산식품부에 1차 건의했으며 주요 피해업종 어업현장에서 피해상황과 어업인들의 의견을 청취, 종합적으로 검토·수렴한 결과를 재차 건의하기도 했다.

한편 도는 어구를 이용한 해파리 구제방법을 비롯해 ▲포획한 해파리 정부차원 수매 ▲휴업에 따른 직불금 보전 ▲영어자금 상환연기 및 이자감면 ▲조업손실 및 어구손실에 대한 농어업재해대책법 지원근거 마련 등을 건의했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