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새 보건복지여성부 장관 하마평 무성

보건복지부가 여성가족부와 국가청소년위원회를 흡수 통합해 거대 부처로 출범할 `보건복지여성부'의 초대 장관이 누가 될지 하마평이 무성하다.

이명박 당선인 측이 각료 후보군을 3∼4배수로 압축하고 개인정보 열람동의서를 발송하는 등 정밀 검증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면서 보건복지계는 어떤 인물이 보건복지여성부를 이끌 선장으로 낙점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인수위와 복지부 주변에서는 자천타천으로 정치권과 학계, 여성계를 중심으로 6∼7명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한나라당 공동선대위원장 출신 김성이 이화여대 교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을 지낸 신영수 서울대 의대교수, 전재희 의원, 의사 출신의 안명옥 의원, 이혜경 대통령자문 양극화 민생대책위원회 위원장(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경호 전 보건복지부 차관(인제대 총장) 등이 후보군이다.

그러나 이 당선인 측이 어떤 선정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이들 후보의 운명이 갈릴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현재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선기준은 2∼3가지.

여성부 폐지와 통합으로 상처입은 여성계 배려와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분야의 특수성을 감안한 전문성 등이다.

이 중에서 어떤 인선 잣대를 들이대느냐에 따라 보건복지여성부 차기 수장이 결정될 것으로 복지부 주변에서는 보고 있다.

이와 관련, 대선 과정에서 이 당선인을 지지했던 보건의료계 그룹 쪽에서 새 정부의 차기 보건복지여성부 장관은 전문성과 자질을 두루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나서 주목된다.

보건의료와 경제사회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만든 `의료와 사회포럼'은 보건복지업무는 국민 일상생활과 밀접할 뿐 아니라 의사, 약사, 한의사, 간호사 등 각종 보건의료인이나 장애인, 노인, 여성, 아동 등 다양한 관련단체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분야로 차기 정부의 보건복지여성부는 그 임무가 막중하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보건의료 및 복지 분야 전반에 걸쳐 폭넓은 식견과 전문성, 올바른 비전과 철학, 다양한 실무경험을 갖춘 인물이 초대 보건복지여성부 장관이 되어야 한다는게 `의료와 사회포럼'측의 설명이다.

의료와 사회포럼은 이런 요구사항을 담은 `이명박 정부 보건복지여성부 장관 인선 관련 의견서'를 최근 인수위와 한나라당에 제출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