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품안전관리 일원화 또 뜸들이나

식품안전 관리 일원화 문제가 또 미궁속에 빠지게 됐다.

식품안전업무가 일단 식품의약품안전청 관장하에 놓이게 됐지만 여러부처로 흩어져 있는 식품안전관리 업무를 한데 모으는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경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6일 정부 조직개편안에 대한 브리핑을 갖고 식품안전 일원화 문제는 식품위생향상 정도를 봐가면서 차츰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식품안전업무 관장은 종전데로 보건복지부 산하 식약청이 맡지만 각부처에서 관장하던 안전업무도 그대로 추진하는 형식을 띠게 됐다.

한편 이번 조직개편안에서는 농림부가 농수산식품부로 확대 개편되면서 각 부처로 흩어져 있던 농수산업무와 식품업무를 총괄하게 됐다.

이에따라 농림부는 기존 해양수산부가 관장하던 어업, 수산정책과 보건복지부의 식품산업정책을 통합 관리하게 된다.

또한 한미FTA 등 국내 시장 개방에 따른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농수산식품부내에 식품산업본부가 신설된다.

대통령인수위는 "FTA 등에 대비해 식품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농어민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농림부의 위상을 강화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같은 발표에 식약청은 안도하는 분위기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명박 당선인의 당초 공약대로 식품안전 추진 방향이 잡힌 것 같다"며 "앞으로도 안전과 산업이 분류돼 관장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관련기사 2면)

이에반해 농림부는 애석하다는 입장이 농후했다. 농림부 관계자는 "인수위의 방침을 따르겠다"며 "인수위의 발표대로 차후 논의할때 그때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오는 21일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