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유통중인 과자류의 트랜스지방 함량이 2005년 대비 86%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07년도 어린이 먹거리 안전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시중 유통중인 과자류의 트랜스지방 함량 실태를 조사한 결과 영양표시에 사용되는 1회 제공기준량(30g)당 평균 0.1g으로 2005년 대비 86% 감소했다고 15일 밝혔다.
식약청에 따르면 트랜스지방 제로화 제품의 비율은 69%로 2005년의 38% 수준보다 1.8배 증가했으며 0.5g이상 함유된 제품의 비율은 2005년 46%였으나 지난해에는 약 1%수준으로 트랜스지방 함량이 대폭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트랜스지방 함량이 1회 제공기준량 당 0.2~0.5g미만 제품의 비율은 아직도 30% 정도로 트랜스지방 제로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저감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식약청은 전했다.
한편 국내 유통되고 있는 일부 수입과자류의 트랜스지방 제로화 제품의 비율은 58%였다. 특히 식약청은 0.5g이상 함유된 제품은 31%로 국내제품 1% 수준에 비해 트랜스지방 함량이 높게 나타나 수입과자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인식 변화와 구매시 영양 성분 확인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식약청은 앞으로도 유통 과자류의 가공식품 뿐 아니라 수입 가공식품 등을 대상으로 트랜스지방 및 포화지방 함량 실태를 지속적으로 조사·발표하고 트랜스지방 저감화 위원회 및 산업체 기술 지원 등 트랜스지방 제로화를 위한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