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도 강화와 식품이력 전자추적 등 '식탁 안전' 대책이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6일 식약청에 대해 식품.의약품 안전사고 당시 신중하지 못한 발표 및 대응으로 국민적 불신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고 중장기 발전 비전을 마련하라고 당부했다.
인수위의 지적은 그동안 '페닐프로판올아민 감기약', '쓰레기 만두소', '기생충 김치' 등 식품과 의약품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마다 소비자들의 불안이 증폭되고 관련 사업이 큰 타격을 입는 등 사회적 혼란이 확산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식약청도 이날 보고에서 인력과 조직, 기능이 확대된 데 비해 식품.의약품 안전사고에 대한 대응이 지연되고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했다는 점을 인정했다.
이에 따라 식약청은 식품과 의약품의 안전사고 예방과 조기 대응체계 구축 등 중장기 발전계획과 함께 신뢰회복 방안 마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날 식약청은 이명박 당선인의 공약대로 식품안전관리 업무 일원화와 식탁안전 확보, 의약품.의료기기.한방 분야 국가전략산업 육성 방안에 대해 보고했다.
식약청의 보고내용에 대해 인수위원들은 별다른 이견을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부 인수위원도 8개 부처 26개 기관에 흩어진 식품안전관리업무를 한 곳으로 모을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고 식약청은 전했다.
이와 함께 식약청은 공약 실천방안으로 ▲음식점 쌀밥.김치.생선 원산지 표시 의무화 ▲식품이력 추적관리제 실시 ▲의약품에 전자칩 부착 ▲한의약제품개발지원팀 및 한약제제평가팀 신설 ▲비만유발 성분 등 식품정보 표시 강화 등을 보고했다.
식약청 관계자는 "인수위원들이 식품안전관리 기능이 강화돼야 한다는 데 공감하는 분위기"였다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식약청 폐지설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낮지 않겠느냐"고 조심스럽게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