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해안 기름 유출지역 수산물 안전


식약청 실태조사 결과 브리핑

현재 서해안 일대에서 유통 판매되는 수산물은 안전하다는 식약청 조사결과가 나왔다.

김명현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은 27일 지난 19일부터 26일까지 재난지역으로 선포된 태안, 서산, 서천, 보령, 당진, 홍성, 군산, 부안 등 총 10개 해안지역에 위치한 20개 위판장 및 횟집을 중심으로 유통판매중인 수산물과 횟집 수족관 물을 수거하여 관능검사와 이화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검사시료로는 오염 및 오염인근지역 등의 위판장 및 횟집등에서 판매되는 어류 20건, 패류 51건, 연체류 12건, 갑각류 9건 등 수산물 92건과 횟집 수족관 물 9건 등 101건이 쓰였으며 특히 이화학검사에는 외국사례와 전문가의견등을 참조하여 대표적인 원유 오염지표성분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16종에 대해 실시됐다.

김청장은 지난 12월 7일 발생한 서해안 원유 유출사고와 관련 수산물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주변지역 등의 수산물 소비가 급감함에 따라 서해안에서 유통판매되는 수산물의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오염지역 및 인근지역의 수산물 및 횟집의 수족관 물은 안전했다고 밝혔다.

김청장은 현재 오염지역인 충남 태안, 서산, 보령 등은 수산물 채취나 조업이 중단되어 출하되지 않고 있으며 이지역에서 일부 유통 판매되고 있는 수산물은 원유 유출 사고전에 생산되거나 오염되지 않은 먼 바다 및 비오염지역에서 생산된 수산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오염지역 횟집의 수족관 물은 활어 운반차로 오염되지 않은 해수를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었다고 김청장은 덧붙였다.

김청장은 관능검사 결과 모두 이상이 없었고 이화학적 검사결과 PAHs가 수산물 92건중 7건은 불검출, 85건은 0.08-121.14 ppb가 검출되었다고 말했다.

이를 독성이 가장 강한 벤조피렌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어류 0.01~0.07, 패류 0.01~3.31, 연체류 0.01~2.13, 갑각류 0.01~0.61 ppb로서 이는 외국 기준치 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김청장은 설명했다. 현재 EU의 벤조피렌 기준치는 어류가 2.0ppb, 패류가 10.0ppb, 갑각류 및 연체류가 5.0ppb다.

또한 김청장은 횟집 수족관 물의 PAHs는 0.69-4.64 ppb가 검출되었는데, 이를 벤조피렌값으로 환산하면 0.001-0.002 ppb로서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먹는 물의 벤조피렌 권고기준 0.7 ppb 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에따라 김청장은 이번 PAHs 검출량, 섭취량 및 독성자료 등을 종합하여 위해평가를 실시한 결과, 인체에는 해가 없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현장 실태조사 결과 원유 유출사고 발생 즉시 해양수산부가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오염지역 수산물 채취 및 유통을 통제하도록 긴급조치를 취하고 수산물 안전점검 요원을 현지에 배치하여 출하 수산물에 대해 지속적으로 지도점검을 실시함에 따라 오염지역은 채취나 조업이 중단되어 출하되지 않고 있다고 식약청은 밝혔다.

식약청은 앞으로도 서해안 수산물의 안전관리를 위해 해수부, 충남도 등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여 출하단계 및 유통과정의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