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상이변 속 꿀벌을 지켜라…5개 부처, 밀원수종 개발 성과 공유

검역본부·농과원·산과원 등 다부처, 꿀벌 질병 진단부터 스마트 양봉·밀원단지 모델까지
2023~2030년 총 484억 투입…기후위기 대응 위한 생태계 서비스 기술 공동연구 진행 중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는 11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기상이변 대응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로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5개 부처 공동연구사업 성과공유회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검역본부,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국립기상과학원이 참여하는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예방수의학회 50주년 기념 학술대회의 특별세션으로 진행되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부처 공동연구 중간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전 세계 농작물 생산량의 약 35%가 수분 매개체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중 꿀벌은 핵심 수분 매개체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지구온난화, 살충제 사용, 서식지 파괴, 꿀벌 응애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꿀벌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검역본부,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국립기상과학원는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약 484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꿀벌 보호 및 관리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꿀벌질병 진단·제어기술, 스마트 양봉관리, 밀원수종 개발, 화분매개 생태계서비스 증진 등 각 기관 중점 추진 연구의 중간 성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검역본부는 꿀벌 질병 진단 및 제어기술 개발을 핵심 임무로 행동이상 증상 꿀벌 현장감별 유전자 진단법 개발,  꿀벌 스트레스 지표발굴 및 관리기술 연구, 꿀벌 봉군소실 및 행동이상에 대한 꿀벌응애와 관련된 바이러스 영향 조사 등을 발표한다.

 

국립농업과학원은 이상기온 대응 꿀벌 스마트 관리 기술 개발, 건강한 봉군 유지를 위한 꿀벌 최적 영양분석, 기후변화 대응 화분매개벌의 농업생태계 서비스 증진 기술 개발, 밀원·재래꿀벌 양봉산물 특성 및 효용 가치 증진 기술 개발 등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국립산림과학원은 기후변화에 적합한 밀원수 개발 및 밀원단지 조성 모델 개발 성과를 발표하고, 국립기상과학원은 밀원식물 개화시기 예측 원형모델 및 개화시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결과를 공유하며, 국립생물자원관은 화분매개곤충 인벤토리 구축 및 생태계서비스 평가모델 개발 연구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정희 검역본부장은 “한국예방수의학회 50주년이라는 뜻깊은 자리에서 꿀벌 보호를 위한 다부처 공동연구 성과를 공유하게 되어 의미가 크다.”라고 하면서, “각 부처의 전문성을 고려한 협력체계 강화로 양봉산업 보호와 생태계 보전에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