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조·시민단체, 풀무원 불매운동 선언

조직 총동원 적극 전개 … 사측 압박용이란 분석도

강원대책위는 18일 춘천지방노동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풀무원불매운동을 선언했다.
파업이후 사측의 직장폐쇄와 노조원에 대한 형사고소로 극한 상황으로 치닫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던 풀무원사태가 노조와 시민단체의 풀무원물매운동으로 또 다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최근 강원지역공동대책위원회(이하 강원대책위)와 경남시민대책위원회(이하 경남대책위)는 각각 기자회견을 갖고, 풀무원에 대한 불매운동을 선언하고 나섰다. 양 대책위는 풀무원노사관계의 조속한 정상화와 장기파업사태 해결을 위해 시민단체가 연대해 만든 위원회이다.

강원대책위는 18일 춘천지방노동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풀무원 전 제품에 대한 강력한 불매운동에 돌입한다고 지난11일에 이어 재차 천명했다.
강원대책위는 "불매운동이 아닌 불매투쟁이다. 이번 투쟁에 모든 노력과 조직을 총동원할 것"이라며 "향후 불매운동에 동참하는 많은 시민들을 적극적으로 규합하고, 전국 대형마트 또는 백화점앞에서의 불매운동 선전전을 적극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경남대책위도 같은 날 성명을 내고 풀무원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결의했다.

경남대책위는 "불매운동을 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풀무원 자본은 끝까지 노동자들의 자존심을 깔아뭉개고, 굴복을 강요해서 불매운동에 돌입하게 됐다"고 주장하며 "풀무원 브랜드인 타 브랜드에 대한 불매운동도 동시에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번 운동은)압박용에 그치지 않고 예전과는 달리 실질적 효과를 낼 수 있게 광범위하게 전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구체적인 운동 전개방식은 상급단체인 화섬연맹차원에서 논의중이며 빠르면 이달 25일쯤 구체적인 행동에 옮길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대화를 통한 사태 해결의 가능성이 없어 보이진 않는다.

강원대책위와 경남대책위 양쪽 다 직접행동에 옮기는 것에 대해선 신중을 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경남대책위는 19일 풀무원측과 비공개 만남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는 등 대화를 통한 사태 해결의 가능성을 상당부분 남겨놓은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일각에선 이번 불매운동선언이 사측을 압박하기 위한 '카드'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편 풀무원사측 관계자는 이번 사태에 대한 공식입장을 묻는 질문에 노조측을 불필요하게 자극하지 않으려는 듯 "일부쟁점에 대해 진전을 보고 있으며 원칙에 의거해 양보할 것은 서로 양보하는 등 대화를 통해 상호 신뢰를 회복하는 방법으로 (사태를) 해결하려 한다"고 답했다.

풀무원노조측은 의료검진비 및 교육비 지원, 일요일 전 직원 휴식 등을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한채 파업 106일째(18일 기준)를 맞고 있다.

이경진기자/lawyoo@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