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부산 시내 학교 앞 '무용지물' 그린푸드존

식약처 '고열량저영양 알림e' 어플도 유명무실

 

초·중·고교 200m 이내의 통학로에 불량식품이나 유해첨가물 식품 판매를 금지하는 '그린푸드존'이 부산 시내에서 유명무실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부산YMCA(대표 신관우) 시민중계실과 인제대학교 소비자학과는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동래구를 비롯해 부산지역 6개 지자체의 초·중·고교 앞 업소 62곳을 대상으로 그린푸드존 실태를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조사 결과 방문 업소의 90%인 56곳에서 청소년기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불량 식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자체 별로는 동래구(71%), 남구(65%),사상구(50%),북구(30%),동·서구(27%) 순이었다.이 가운데에는 그린푸드존 내 우수판매업소로 지정돼 수도료 등의 혜택까지 받아챙기는 업소도 있었다.


YMCA는 식약처가 학교에 통보하도록 돼 있는 판매제한 식품의 목록이 현실과 동떨어진다는 점 또한 지적했다.
식약처가 유해성 제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내놓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고열량저영양 알림e' 역시 제대로 업데이트 되지 않아 YMCA가 조사한 83개의 샘플 중 바코드로 유해성 여부의 판별이 가능한 제품은 3개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제품들은 바코드 표시가 없거나 제품정보조차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부산YMCA 시민중계실 황재문 실장은 "4대악 근절운동 중 하나인 '불량식품'을 단속해야 함에도 제대로 시행하고 있는지 의문이다"라며, "식약처등에서는 경찰과 협업을 통해 불량 식품 근절운동을 명확히 시행해 부모와 어린이의 먹을거리 불안을 없애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