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명절 차례상 대표 음식인 ‘전(煎)’을 직접 부치는 가정이 줄고, 냉동·완제품 전을 구매해 간편하게 데워 먹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5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조사에 따르면 냉동 동그랑땡 가격은 유통업태별로 상승폭이 달라, 대형마트는 전년 대비 평균 4.8% 상승에 그쳤지만 백화점은 20.2%나 올랐다. 수제 동그랑땡(400g)의 경우 전통시장 평균 1만1,520원으로, 냉동 제품보다 약 2.1배 비쌌다. 협의회가 서울 시내 백화점·대형마트·전통시장·반찬가게 등 73곳을 조사한 결과, 냉동 동그랑땡 평균가는 6,165원, 동태전은 10,460원, 꼬지전은 9,645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냉동 동그랑땡의 가격 상승률은 유통업태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대형마트는 평균 4.8% 상승했지만, 백화점은 20.2% 올라 소비자 부담이 커졌다. 한편 매장에서 직접 조리한 수제 전 제품의 경우 전통시장과 반찬가게 평균가가 약 1만1천~1만2천원대로 비슷했으나, 백화점에서는 이보다 1만원 이상 비싸게 판매됐다. 냉동 제품 대비 수제 제품이 2배 이상 비싼 셈이다. 소비자단체는 “명절 음식 구매 트렌드가 ‘전부 직접 조리’에서 ‘일부 구매 혼합형’으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추석을 일주일 앞둔 제수용품 구입 비용이 4인 가족 기준 평균 32만 2752원으로, 3주 전 조사보다 2.3%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조사와 비교해도 3.9% 하락해 소비자 부담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대형마트에서는 전년 대비 가격이 오히려 3.2% 올라 정부의 명절 할인지원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문미란) 물가감시센터는 9월 29~30일 서울 25개 구 90개 시장·유통업체(백화점 11곳, 대형마트 25곳, 기업형 슈퍼마켓(SSM) 19곳, 일반 슈퍼마켓 19곳, 전통시장 16곳)를 대상으로 추석 제수용품 24개 품목 가격을 조사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3주 전 대비 시금치·대추 큰 폭 하락, 배는 급등 조사 결과, 24개 품목 중 16개 품목이 하락했다. 특히 시금치는 400g 기준 1만2572원에서 9067원으로 27.9% 떨어져 하락 폭이 가장 컸고, 대추(-13.1%), 식용유(-11.0%), 돼지고기 뒷다리(-11.0%) 등도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했다. 반면 배는 3개 기준 1만2221원에서 1만3802원으로 12.9% 상승해 상승폭 1위를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추석을 3주 앞두고 차례상 차림 비용이 지난해보다 소폭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채소와 과일 가격은 안정세를 보였지만 수산물과 축산물 가격이 오르며 소비자 부담이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문미란) 물가감시센터는 15~16일 이틀간 서울 25개 구의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SSM), 일반 슈퍼, 전통시장 등 90곳을 대상으로 추석 제수용품 24개 품목 가격을 조사한 결과, 4인 가족 기준 평균 비용이 330,362원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조사 대비 0.4% 오른 수치다. 품목별로는 참조기(31.1%), 송편(14.2%), 돼지고기(13.9%) 등이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밤(-24.8%), 시금치(-23.0%), 배(-19.5%) 등은 크게 떨어졌다. 특히 지난해 급등했던 채소·임산물류는 올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여 장바구니 부담을 다소 완화했다. 유통업태별로는 전통시장이 220,470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일반슈퍼(233,789원), SSM(288,404원), 대형마트(301,414원), 백화점(431,243원)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은 대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