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건강을 위해 건강기능식품 하나쯤은 먹는 시대. 코로나19 기간 동안 면역력 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급증했다. 그러나 엔데믹 전환 이후 이러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6조 1415억원) 1.6% 감소한 6조 44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푸드투데이는 올 한 해 건강기능식품 업계에서 발생한 이슈들과 현황을 살펴본다.[편집자주]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와 즐겁게 건강 관리를 하려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의 영향으로 건강기능식품 업계는 그 어느 해보다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기능성, 원료, 소비자 타켓, 섭취 형태 등에 따라 세분화해 차별한 업체가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올해 소비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는 종근당건강이였다. 지인에게 추천하고 싶은 브랜드로는 동아제약이 1위로 꼽혔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1위 기업인 KGC인삼공사는 홍삼시장이 갈수록 위축되면서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11일 건강기능식품협회가 전국 총 6700가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2024년 건강기능식품 구입률은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건강을 위해 건강기능식품 하나쯤은 먹는 시대. 코로나19 기간 동안 면역력 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급증했다. 그러나 엔데믹 전환 이후 이러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6조 1415억원) 1.6% 감소한 6조 44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푸드투데이는 올 한 해 건강기능식품 업계에서 발생한 이슈들과 현황을 살펴본다.[편집자주] 건강기능식품업계는 올 한 해 녹녹치 않은 시간을 이어갔다. 엔데믹 이후 성장 정체기가 올해도 지속됐다.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빠른 성장으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고, 경기 불황까지 겹치면서 시장에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통적인 건강기능식품인 홍삼의 시장 규모는 매년 감소하며 올해 시장 규모 1조원선이 깨질 전망이다. 반면 종합 및 단일비타민은 매년 성장 통해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홍삼 올해도 마이너스 성장...시장 규모 1조원선 무너져 '에잇포켓' 현상에 10세 이하 키즈 프리미엄 건기식 증가 11일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등에 따르면 2024년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전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동아제약(대표 최호진)은 고함량 기능성 활성비타민 ‘오늘비타’ 2종을 출시했다. 오늘비타 2종은 일반 비타민에 비해 높은 흡수율로 생체 이용률이 높고 지속 시간이 긴 활성비타민이 함유된 제품이다. ‘오늘비타 더블골드 정’과 ‘오늘비타고 정’으로 구성됐다. 오늘비타 더블골드 정은 활성비타민 B1 인 푸르설티아민, 활성비타민 B2, 활성비타민 B6, 활성비타민 B12가 함유됐다. 육체 및 눈의 피로, 체력저하, 신경통, 근육통, 관절통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우르소데옥시콜산(UDCA)이 함유됐다. 오늘비타고 정은 활성비타민 B1인 벤포티아민과 비타민B, C, D, 아연, 마그네슘 등이 함유됐다. 육체 및 눈의 피로, 체력저하, 근육통, 관절통, 구내염 등의 개선에 효과적이다. 특히 벤포티아민이 130mg함유되어 국내 제품 중 가장 많은 양이 들어있다. 오늘비타 더블골드 정과 오늘비타고 정은 1일 1회 1정만 복용하면 되어 복용편의성도 갖췄다. 일반의약품인 오늘비타 더블골드 정과 오늘비타고 정은 약국에서 구입 가능하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많은 현대인들이 과도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으로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동아제약(대표 사장 최호진)은 시린이와 잇몸질환에 효과적인 ‘검가드 치약’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검가드 치약은 두 가지 이상 효능을 한번에 갖춘 하이브리드 제품이다. 검가드 치약을 사용하면 시린이 보호는 물론 치은염, 치주염 등 잇몸질환 예방까지 가능하다. 동아제약은 성분에 민감해 하는 소비자를 생각해 검가드 치약에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 파라벤, 트리클로산, 타르색소, 벤조페논, 동물성원료, 광물성원료, 폴리아크릴아마이드 8가지 성분을 넣지 않았다. 의약외품인 검가드 치약은 약국에서 구입 할 수 있다. 검가드 치약이 나오면서 동아제약 잇몸질환 전문 브랜드 ‘검가드(GUM GUARD)’ 라인업은 한층 탄탄해졌다. 동아제약은 2016년 잇몸질환 구강청결제 ‘잇몸 가그린 검가드’를 선보였다. 지난해에는 ‘검가드 잇몸전용 칫솔’, ‘검가드 치간칫솔’, ‘검가드 치실’을 내놓으며, 검가드 브랜드 라인업을 확대했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시린이가 걱정되면서 잇몸질환 예방을 동시에 하고 싶은 분에게 검가드 치약을 추천한다”며, “양치를 하면서 동시에 잇몸질환을 예방 할 수 있는 검가드 치약이 구강 관리에 도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장수식품부터 새로운 형태의 제품까지 다양한 젤리가 소비자들의 눈과 입을 사로잡고 있다. 롯데제과(대표 민명기)가 2016년 ‘수박바’와 ‘죠스바’를 젤리형태로 내놓아 성공하자 오리온(대표 담철곤)은 지난달 ‘초코송이’의 젤리 제품인 ‘송이젤리’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오리온이 지난 1984년 출시한 '초코송이'를 젤리로 구현한 것으로 송이젤리는 초코송이와 젤리의 합성어다. 초콜릿의 달콤함과 오렌지맛 젤리의 상큼함이 특징이다. 오리온 관계자는 "최근 일본과 대만 등에서 초콜릿 속에 젤리가 들어간 제품을 맛본 소비자들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증 후기가 증가하는 점에 착안, 초콜릿과 젤리를 합한 하이브리드 제품을 내놓게 됐다"고 밝혔다. 동아제약(대표 최호진)도 1963년에 출시한 박카스를 ‘박카스맛 젤리’로 재탄생 시켰다. 지난해 11월 판매되기 시작한 이 제품은 월 평균 3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효자상품으로 등극했다. 광동제약이 2017년 선보인 ‘비타500 젤리’도 연간 15~2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색제품도 있다. 롯데제과는 젤리와 아이스크림을 컬래버레이션한 ‘젤리셔스 구미 당기는 구미바’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딸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의약품만으로 실적을 내기 힘든 환경을 맞은 제약사들이 새로운 수익원을 찾기 위해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동아제약(대표 최호진)은 박카스의 맛과 향을 그대로 담은 ‘박카스맛 젤리’를 출시했다. 이번 박카스맛 젤리는 박카스 브랜드 친숙도를 높이고 건강한 간식을 제공해 고객 건강에 이바지하고자 출시하게 됐다. 박카스맛 젤리 1봉지에는 자양강장제 박카스F와 동일한 타우린 1000mg이 함유됐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타우린은 생체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는 물질로도 알려져 있다.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 B1, B2, B6도 함유돼있다. 특히, 젤리 안에 젤리가 들어있는 이중구조로 더욱 쫀득한 젤리의 식감과 풍부한 박카스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 박카스맛 젤리는 카페인이 첨가되지 않아 전 연령층에서 섭취가 가능하다. 파우치형 지퍼백 포장으로 휴대가 편리한 것이 특징이다. 한미약품(대표 우종수)과 광동제약은 음료와 생수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한미약품그룹 관계사인 한미헬스케어는 지난 8월 어린이 비타민 음료 ‘텐텐’을 선보였다. 텐텐은 비타민 B1‧비타민 D‧나이아신‧아연‧칼슘‧식이섬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연말이 다가오고 송년회 시즌이 시작되면서 들썩이는 숙취해소제 시장에 롯데칠성음료가 도전장을 냈다. 현재 숙취해소 시장은 CJ헬스케어, 삼양사, 그래미, 동아제약이 각축을 벌이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칠성(대표 이영구)은 제주시 구좌읍에 위치한 ‘비케이바이오(BK bio)’ 본사 대회의실에서 ‘숙취해소음료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롯데칠성음료는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제주산 천연원료 확보 및 분석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사측은 기존 제품보다 더 효과적으로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는 기능 성분을 활용한 숙취해소음료의 개발 및 생산에도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롯데칠성은 비케이바이오와 활발한 교류와 공동개발을 통해 한국인의 체질과 입맛에 맞는 숙취해소음료를 내년 하반기에 선보일 예정이다.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은 CJ헬스케어(대표 강석희·윤상현)의 '컨디션'이다. 1992년 출시된 이 제품은 지난해 3200만 병이 팔렸다. 시장점유율은 50%에 달한다. CJ헬스케어는 지난해 프리미엄 숙취해소제 '컨디션CEO'를 선보이며 1만원이라는 고가에 내놨다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CJ제일제당(대표 신현재)은 ‘비비고 만두’가 베트남 식품시장에서 ‘한식만두(Mandu)’라는 새로운 식품장르를 창출했다. 지난해 말 출시된 ‘비비고 만두’는 1년 만에 누적매출 70억원에 달하는 매출성과를 기록했다. 현지식 만두인 스프링롤, 딤섬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국민 만두’ 반열에 올랐다. 이 같은 매출성과에 힘입어 최근에는 베트남 진출 이후 최초로 ‘비비고 만두’ TV광고를 론칭하며 마케팅활동 강화에 나선다. CJ제일제당의 차별화된 냉동만두 R&D/제조기술을 기반으로 만든 ‘비비고 왕교자’의 특장점을 소개했다. 얇고 쫄깃한 만두피와 고기와 야채 등 속이 꽉 찬 만두소의 특징을 집중적으로 강조했다. 광고 모델로는 베트남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배우 박서준을 선정했다. CJ제일제당은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차별화된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며 ‘한식만두’ 카테고리를 대폭 키운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향후 동남아 전역으로 ‘비비고 만두’ 영향력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CJ제일제당은 지난 2016년 말 베트남 냉동식품 ‘까우제(現 CJ까우제(CauT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