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우주에 맥주를 보낼 수 있다면? 이 얼마나 기발하고 쓸데없는 일인가. 수 없이 날아오는 시시껄렁한 보도자료 메일 속에서 눈이 번뜩이는 자료를 발견했다. 브루어리 이름도 'satellite(인공위성)'이다. 전동근 대표는 왜 맥주를 우주에 보냈을까? 왜 우주와 지독한 사랑에 빠졌을까? 가산디지털단지의 더쌔를라잇부르잉에서 만난 전동근 대표는 예정된 시간보다 일찍 도착했고 정해진 시간보다 많은 이야기를 들려줬다. 앳되보이는 얼굴이었지만 28세라는 나이가 의심 될 만큼 영리했고 동시에 솔직했다. "우주 마케팅은 가능성이 무한한 영역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저의 도전과 열정의 표현이랄까요? 어릴때부터 천문학과 우주에 관심이 많았어요. 수익 중에 일부지만 우주 관련 마케팅에 투자해서 국내 우주 산업에 이바지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두바이와 러시아에 있는 미그-29기 같은 전투기를 조종하는 이벤트도 구상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지만 우주와 물리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지구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더쎄를라잇 브루잉'이라는 이름을 지었다. 전 대표는 최상의 맥주를 생산하기 위해 맥아와 홉도 직접 수입하고 있다. "
[푸드투데이 = 황인선.조성윤기자] 기해년 2019년도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역사의 한 페이지로 넘어가고 있는 2019년. 농식품 업계는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냈다. 돼지해에 찾아 온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중국을 시작으로 우리나라는 물론 베트남 등 아시아 각국으로 확산되며 국내 양돈농가들은 그 어때보다 힘든 한 해를 보냈다.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면서 양국간 갈등은 무역전쟁으로까지 번졌다. 이는 일본맥주, 화장품, 의류 등 다양한 분야로의 불매 운동으로 확산되면서 국내 경제.산업계를 흔들었다.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화학 참사 사건으로 불리는 '가습기살균제 사건'의 피해자들을 위한 가장 전향적인 지원 대책을 담고 있는 전현희 의원이 발의한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를 통과하며 2011년 4월 수면 위로 떠오른지 8년 남짓 만에 실질적인 피해구제 대책에 한발짝 내딛었다. 식품업계에는 옛 감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향유하는 '뉴트로(새로움+복고)' 열풍이 거셌다. 그때 그 시절 식품이 소비자들의 요구로 재출시 되며 향수를 자극했다. 새벽배송의 원조 마켓컬리 뿐만 아니라 e커머스 업계와 오프라인 유통업체까지 새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건강을 중요시하는 트렌드에 맞춰 차음료 소비가 늘면서 음료업계가 RTD 차음료를 앞다퉈 출시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동서식품(대표 이광복)은 곡물 본연의 맛을 살린 ‘동서 보리차’와 ‘동서 옥수수차’ 2종을 리뉴얼해서 내놨다. 두 제품은 기존 차음료 브랜드인 ‘동서 맑은티엔’ 5종 음료 중에 소비자가 식수용으로 가장 선호하는 보리차와 옥수수차를 새롭게 선보였다. 국산보리 100%를 사용한 동서 보리차는 특유의 구수한 맛이 특징이다. 동서 옥수수차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무기질 등이 풍부한 옥수수를 주원료로 사용해 고소하면서도 깔끔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두 제품 모두 곡물 추출액 외에 다른 첨가물을 최소화해, 한층 진하면서도 순수한 곡물 본연의 맛을 살렸다는 게 동서식품의 설명이다. 동서식품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국내 RTD(Ready to Eat) 차 음료시장을 공략하고자, 진하면서도 뒷맛이 깔끔한 식수음료 2종을 출시했다”며 “30년 이상 식수용 차 시장을 선도한 동서식품만의 전문성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소비자 취향을 만족시키는 다양한 차 음료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동원F&B(대표 김재옥)도 천혜의 녹
[푸드투데이 = 이하나기자]양승조 충남도지사가 20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방역 현장을 점검했다. 양 지사는 이날 보령시 천북면의 거점소독시설을 찾아 신속하고 철저한 방역조치를 당부했다. 이 자리에서 양 지사는 “충남은 국내 최대 축산단지인 만큼 절대 ASF가 발생돼서는 안 된다"며 "어려워도 함께 막아내자”며 방역 관계자를 격려했다. 그러면서 “방역만큼은 농장주가 직접 챙겨야 한다”며 “외부인 차단, 근로자나 축주가 농장 출입 시 철저한 소독실시, 축산농가 모임 자제 등 바이러스 유입 요인을 원천 제거해 달라”고 강조했다. 충남은 농가 1227곳에서 돼지 240만 6000마리를 사육, 사육 두수로 보면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다. 한편,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주로 감염된 돼지의 분비물 등에 의해 전파된다. 돼지과에 속한 동물에만 감염되며 감염되면 100% 폐사해 한 번 발생할 경우 농가 피해가 크다.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한번 전염되면 돼지를 살처분하는 것 외에 방법이 없다. 잠복기는 3일에서 최장 21일이다. 사람에게는 전염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