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부족 시절에는 영양결핍이 큰 문제였다. 산업혁명 이후 농업기술 및 식품산업의 발달 등으로 다양한 가공식품이 개발되고 기호성 역할이 크게 부가되어 먹는 즐거움을 추구하면서 필요 이상의 과잉 섭취는 비만 등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제 비만은 인류의 진화 방향이라고 할 만큼 전 세계적…
피고인들은 서울 송파구 소재 약국 개설자들로서, 공모하여 2017. 9. 13.부터 2017. 9. 14.까지 용역업체를 통해 고용한 도우미들로 하여금 서울○○병원 동관 후문에서 약국을 정하지 않은 환자들에게 접근하여 자신들이 속한 ○○반 약사회의 회원 약국들 중 미리 정해진 순번 약국으로 안내하는 등 소비자…
영양성분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물질이다. 그러나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고 우리 몸에 필수적인 영양성분도 지나치면 독이 된다. 우리 국민들이 통상 하루 필요량보다 많은 양 섭취하는 영양성분의 1위는 나트륨이다. 나트륨 과다섭취는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위험 요인이 되므로 건강을 지키고 의료비 절감…
피고인은 비누제조 및 판매업을 하는 ㅁㅁ주식회사(변경전 상호 ‘주식회사 ㅁㅁ’, 이하 ‘이 사건 회사’라 한다)의 대표이사다. 피고인은 2006. 3.경부터 2007. 12.경까지 파주에 있는 동일물산 공장에서 키토산, 쑥액기스, 살구 오일, 로즈마리 오일, 녹두 파우더 등을 원료로 하여 신기한 비누를 만들어…
꿀벌의 집단폐사와 개체 수 감소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생태계 위기의 또 다른 원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꿀벌이 사라지는 원인을 여러 가지로 분석하고 있으나 주요원인으로는 꿀벌 응애 등 천적의 개체 수 증가와 기후 변화 등을 꼽고 있다. 필자가 양봉업에 입문한지가 50여년이 지났지…
2018년 국내 양봉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양봉 사육농가 수는 26,545호이며 사육 봉군 수는 2,592,197 봉군으로 농가당 98 봉군을 사육하고 있다. 우리나라 벌꿀산업의 생산규모는 벌꿀 3,711억 원, 로열젤리와 화분 등 양봉 산물 1,059억 원, 화분 매개 및 종봉 등 757억 원으로 총 5,527억 원으로 추정된…
요즘 갑자기 늘어난 병이 하나있다. 바로 목디스크다. 머리에 무거운 것을 올리는 경우에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경추사이의 디스크가 불거져 나오면서 신경을 눌러서 목, 어깨, 팔, 손 등에 통증이 오는 것이다. 그런데 현대인들이 머리에 무거운 것을 얹고 다니는 것도 없는데 목디스크가 오는 것이다. 보통 검사…
피고인은 서울 강남구에 있는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이다. 피고인은 2012. 12. 18.경 인터넷쇼핑몰 ‘△△홈페이지)’에서, □□□병원의 공소외 1 원장에게 우루사정 100정을 판매한 것을 비롯하여, 2012. 10.경부터 2013. 6. 21.경까지 위 인터넷 쇼핑몰에서 동물병원 개설자들에게 일반의약품…
누구나 세월가면 나이들고 노인이 된다. 노인이 되면 우리 몸에 여러 변화가 생긴다. 신체 기능이 떨어지고 면역체계가 흔들릴 수 있어서 코로나19와 같은 감염성 질환이나 만성질환에 취약하고 질병 회복도 늦어진다. 노인의 신체 상황 특성과 이에 대응하여 건강수명을 지키기 위한 식생활 관리에 대하여 살…
미래인증교육컨설팅 대표이사 유영준 박사는 서울대 농화학을 전공하고,식품회사에 근무를 했으며, 식품융합과학 전공 이학박사이며, 식품기술사다. 또한 ISO/FSSC22000(식품안전경영시스텀)선임심사원으로 실무와 이론을 갖춘 식품위생안전 전문가다. (생산관리)경영학, (환경정책)행정학, (원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