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가 10일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56개 기업에 대한 동반성장지수에서 최하위 등급인 '개선' 등급으로 낙제점이 매겨졌다.
동반성장지수는 중소기업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기업의 노력을 계량화해 평가한 것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만든 ‘동반성장, 공정거래협약 실적평가’와 동반위가 자체 조사한 ‘체감도 조사’가 통합돼 산정됐다. 실적평가는 대기업이 제출한 실적자료에 대해 현장확인을 거쳐 이뤄졌다.
정부는 지난 2010년 동반성장위원회를 구성한 데 이어 지난해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이번에 처음으로 지수를 발표했다.
유통기업들 가운데는 롯데쇼핑과 이마트, 홈플러스 등 세 곳이 동반성장 평가대상에 포함됐고, 이 가운데 홈플러스만 '개선' 판정이 내려졌다. 롯데쇼핑과 이마트는 4단계 등급 중 상위 2번째인 '양호' 판정을 받았다.
대형마트들은 이번 발표에 적잖은 신경을 쓰고 있었다. 평과결과가 부정적으로 나오면 골목상권 진출 논란으로 가뜩이나 여론의 반응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홈플러스는 지난 7일 협력업체 매장 판촉사원의 인건비를 협력업체에 떠넘긴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를 받은데 이어 이번 동반성장위원회에서 발표한 동반성장지수에서 최하위 등급인 ‘개선’판정을 받는 잇단 악재에 침통한 분위기다.
이와 관련 홈플러스는 자신들의 동반성장 노력을 강조하면서 평가 기준이 자신들에게 불리하게 적용됐다고 반발하고 있다. 동반성장지수 ‘개선’ 판정을 받은 것은 자금지원에만 치우쳐 평가를 하는 바람에 불이익을 받았다는 입장이다. 이미 지난해 4월 전무급 임원을 본부장으로 ‘동반성장본부’를 만들고 수출지원, 판매 확대, 물량 증대 등을 위해 나름대로 힘쓰고 있는데 이런 평가가 상대적으로 소홀했다는 것.
홈플러스 관계자는 "이번에 발표된 동반성장지수에서는 자금지원 부문의 가중치가 43%로 굉장히 높았다"며 "유통업의 특성상 중소업체와의 거래가 굉장히 많은데 다른 업종과 비교해 다소 불리한 부분이 있었다"고 말했다.
또 "제조업 중심의 평가체제로 자동차, 건설, 철강 등은 동반성장을 위해 설비투자를 지원하기 때문에 자금을 많이 지원하는 부분이 있어 평가가 좋게 나올 수밖에 없다. 제조업과 같은 잣대로 도소매업을 똑같이 평가하는 것은 무리수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