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약청, 의약품 관련 법률 개선안 제출

약사법·화장품법 등 행정처분기준 미비점 보안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약사법, 화장품법 등의 행정처분 기준을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최근 약사법시행규칙개정안을 마련 지난달 31일 보건복지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제출된 약사법시행규칙개정안의 특징은 ▲의약품허가 관련 제도 개선 ▲의약품 유통질서확립 등 사후관리체계 보강 ▲행정처분기준 미비점 보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의약품 허가와 관련한 제도 개선부분은 유전자재조합의약품·세포배양의약품·생물학적제제·유전자치료제 등생물유래의약품의 품목허가 신청시 안전성‧유효성 검토자료와 기준 및 시험방법 자료를 제출토록 의무화해 안전관리 기준을 강화하고 전문의약품 중 정제‧캅셀제‧좌제에 대한 복제의약품 허가신청시와 재평가시 생물학적동등성 시험자료의 제출 의무화해 일정수준의 품질을 유지토록 제도화했다.

의약품 사후관리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의약품 등의 제조업자‧수입자에 대한 불량품 자진수거(리콜) 의무 강화와 성실한 신고 및 자진 수거시 처분의 면제근거를 명시하여 리콜제도의 활성화 시키는 한편 어린이의 약화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용기포장을 식품의약품안전 청장이 정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약국개설자간의 의약품구입 제한 조항을 완화해 약국의 지나친 재고부담을 해소할 수 있도록 했다.

그 동안 지적돼 온 행정처분기준 미비점에 대해서는 약국의 국민건강보험 등 각종 보험의 허위·부당 청구 방지와 위반시 제재기준을 마련했다.

특히 처분주체를 1.약국개설자, 2.약사‧한약사, 3제조업자‧수입자, 4.판매업자 등으로 세분화하는 한편, 개별기준의 10개 항목 폐지 외에 30여개 신규항목을 신설하는 등 전면 개편하고, Ⅲ.세부기준을 신설했다.

한편, 식약청은 행정처분 등과 관련된 과징금 상한액의 상향조정, 행정처분 법규미비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약사법개정안도 8월중으로 마련해 보건복지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