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조단계 식품 이물질 혼입률 감소추세

식품에서 이물질이 끊이질 않고 있는 가운데 제조 중 이물질 혼입비율은 감소세를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1년도 1분기까지 식품업체 이물질 현황을 집계한 결과 총 1만1422건의 이물질이 보고됐으며, 제조단계 이물질 혼입률은 08년 21.1% 에서 09년 15.3%, 10년 8.9%, 11년 1/4분기 4.0%으로 감소했다.


제조단계에서 많이 혼입되는 이물의 종류로는 곰팡이(11.6%), 플라스틱(9.0%), 금속(7.5%), 벌레, 유리 순이었으며, 식품의 종류로는 조미김(47.9%), 건포류(36.0%), 김치류(35.3%), 즉석섭취식품, 어육가공품 등으로 나타났다.


제조·유통·소비단계에서 이물이 혼입되는 주요 원인은 벌레의 경우, 주로 식품 유통 또는 보관 환경이 벌레에 노출돼 유통.판매업체 또는 소비자가 식품을 보관하는 과정에 혼입되거나, 제조업체의 방충시설이 미흡하거나 농산물 등 원재료로부터 이행돼 혼입되기도 했다.


곰팡이는 유통 중에 식품 취급 부주의로 용기.포장이 파손 또는 훼손돼 발생되며, 용기의 밀봉이 불량하여 발생되기도 했다. 금속과 플라스틱 등은 거름망, 볼트, 철수세미, 원재료 보관상자 등 제조업체의 제조시설이나 소비자가 사용하는 조리기구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그 조각이 혼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청은 2010년도 이물보고 건수가 전년도에 비해 4.6배 증가(09년 2134건→ 10년 9882건) 했으나 이는 2010년 1월4일부터 식품업체의 이물보고 의무화 및 24시간 인터넷 이물 보고 시스템이 구축됐기 때문이며, 올해 들어 이물보고 건수와 제조단계 이물 혼입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