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가공식품 일부 가격담합 혐의"

"대기업 문화.행태 바꿔야"..조사 강화할지 주목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은 25일 "일부 가공식품 가운데 상당수 품목이 (가격결정 과정에서) 담합 혐의가 있는 것으로 보고받았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청사에서 취임 첫 기자간담회를 열어 공정위 산하에 신설된 `가격불안품목 감시.대응 대책반' 활동을 소개하면서 이같이 밝히고 "속도감 있게 조사를 진행하려 하고 있지만 설 이전에 결과가 나오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취임 직후 공정위가 물가문제에 치중하고 있는데 대해 "공정위는 소비자 정책을 총괄하는 부처로 소비자의 권익을 증진하고 소비생활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전제하고 "공정위가 경쟁을 촉진시켜야 하는 것은 맞지만 경쟁촉진 자체가 최종목표가 아니라 가격 하락 안정, 품질 향상, 서비스 개선이 최종목표가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가격불안품목 감시.대응 대책반은 상당기간 갈 수밖에 없으며, 앞으로 조사를 나가면 (가격담합.불공정행위.유통왜곡 등을) 합동으로 조사해 선택과 집중 형태로 하겠다"고 강조, 향후 기업에 대한 조사가 강화될 것임을 예고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은 공정위의 조사기능 강화로 기업들이 부담을 느끼는 것 같다는 지적에 "조사에 앞서 사전에 철저히 준비한 뒤 정해진 기간에 신속하게 조사하고 성과가 없더라도 기간이 지나면 철수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문제에 언급, "대.중소기업간 문화나 행태가 선진화해야 한다고 느낀다"고 아쉬움을 표시한 뒤 "외국은 (대기업이 하도급업체에) 합리적으로 원자재 가격인상을 반영해주고, 시장가격 범위내에서 납품가격을 결정하며, 미리 대금을 주는 반면 국내에서는 최저가 입찰을 통해 가격을 결정하고 후불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조목조목 지적, 향후 대기업에 대한 감시 강화 등 동반성장 문제에도 주력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면서 그는 "대기업 최고경영층이 인식을 전환해 대기업 문화를 바꿀 수 있도록 의사소통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국내 기업구조 문제에 언급, "우리나라에는 경량급(중소기업)과 헤비급(대기업)만 있다"면서 "호랑이 새끼(중견기업)를 많이 키워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허리에 해당하는 많은 기업이 나와서 산업구조가 개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